[대학의 현재와 미래]

 

지역사회와 비수도권 대학의 상생을 바라며

 

  지난 15일, 교육부는 올해부터 2025학년도까지 전국 96개 대학이 1만 6,197명의 정원을 감축한다고 밝혔다. 입학정원을 감축하면 ‘적정규모화 지원금’을 주기 때문인데, 올 한 해만 국비 1400억 원이 지원된다. 그러나 참여 대학의 87.9%가 비수도권 대학이라는 점은 ‘수도권 쏠림현상’이 더욱 집중될 것이라는 우려를 키운다.

  대학은 학생·교직원 등 많은 사람을 지역으로 불러와 주거·상업 기능을 촉진하고 침체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 또한 인구의 유출을 막아 지역 간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교육부의 「신산업분야 특화 선도전문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2021)에 따르면 대구·경북 소재 A대학 졸업생 중 취업자의 60% 이상이 대학소재지에 있는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했다. 이렇듯 대학과 지역산업은 긴밀하게 연결돼 있기에, 갑작스러운 ‘폐교 도미노’가 이어진다면 지역사회 또한 큰 타격을 볼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정부는 지방대학이 숨 쉴 수 있는 퇴로를 열어줄 필요가 있다.

  비수도권 대학이 단기간에 수도권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이에 비수도권 대학이 실무형 인재의 요람이 될 수 있도록 필수 및 혁신 산업과 연계된 특성화 운영모델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언해 본다. 이를 위해선 산업계와 연계한 교육과정 개발, 교원 실무역량 강화, 신기술 기자재 도입 등이 이뤄져야 한다. 즉 교육적 관점뿐 아니라 산업, 노동, 기술 등 다양한 관점의 시선이 함께해야 할 것이다. 눈에 보이는 구성원을 넘어 숨어 있는 이해관계자들이 함께할 공론의 장을 기대해 본다.

 

안혜진 편집위원 | ahj332@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