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호 [사설] ‘자율’의 일방통행
 
 

143호 [사설]

‘자율’의 일방통행

 

대학원 총학생회에서 ‘무크지’를 기획중이라고 한다. 편집위원을 공개 모집해 추진중인 이번 사업에서 본교 연구회의 역할이 없어 의아하다. 본교의 학술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인가. 그렇다면 작년에 비해 올해에 비약적으로 증가한 연구회의 숫자를 설명할 수 없다. 그런데 왜 연구회의 참여가 없는 걸까. 대학원 총학생회의 적극적 노력이 없었기 때문인가. 하지만 본교 연구회는 연구회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연구회 자율성’을 주장해왔다.

하지만 이번 결과를 통해 보자면, 이 ‘자율성’에 대해서는 다른 판단이 필요할 것 같다. 다시 말해 여기서 주장되는 자율성은 연구회가 독자적 판단에 의거하여 그러한 사업에 개입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난 방중에 두 가지 일이 있었다. 하나는 방중 학술특강이다. 이번 특강은 이를 준비한 학술정책위원회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매우 진지한 모색이었다. 하지만 수강자가 10명 안팎에 불과했다. 주제의 진지함을 비껴갈 본교의 학술풍토라는 것이 있어서일까. 다른 하나는 지하 1층 바닥공사다. 거의 보름 동안 진행된 이번 공사로 분진이 날리던 연구환경이 많이 개선된 셈이다.

이것이 본교 연구회가 말하는 ‘자율성’의 정체라면 너무 앞서나가는 것일까. 그렇다면 그 많은 연구회가 정말 개방적인 연구작업을 하고 있나.
그러나 10% 도 채 되지 않는 연구자가 대학원의 자치공간에 있어 절대 다수를 점하는 ‘혜택’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회가 나머지 90%의 연구자에 제공하는 ‘반대급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무엇이 문제일까. 바로 지적 편협성이 문제다. 연구회는 학연협의 전통을 이야기하지만, 그것은 학연협 정신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판단할 문제다.
모든 주제에 대해서 ‘나의 학문’에 기대서 판단하는 것은 자유지만, 그것으로 재단하는 것은 편협성으로 밖에 볼 수 없다. 단순하게 물어보자. 본교에서 연구회의 존재근거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신생 연구회를 평가할 수 있는 ‘권위’의 정체가 도대체 무엇인가. 사실 대다수의 개별 연구자들은 그러한 경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 현 상황이다. 하지만 연구회라는 집단이 그러한 개별 연구자의 단순한 총합으로 머문다면 연구회가 주장할 수 있는 ‘자율성’이라는 것의 정체는 결국 ‘개별 이해’에 불과한 것이 아니겠는가.
이제는 같이 이야기할 때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