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학위 취득까지, 평균 연령 41.2세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박사조사(2019): 국내신규박사 학위취득자 실태조사」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전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의 학위 취득 당시 평균 연령은 41.2세였다. 이는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선 최소 30대 이상까지 학업에 전념해야 함을 시사한다. 한편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최근 25세 이상부터 39세 이하까지의 미혼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적당한 결혼적령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남녀 평균 33.5세로 나타났다. 이는 박사학위를 취득하려는 다수의 대학원생이 과정 중이나 수료 상태에서 결혼적령기를 맞게 됨을 뜻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박사과정 중이나 수료 상태로 아이를 출산하거나 양육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많은 대학원생은 결혼·출산·육아에 대한 심리적·경제적 부담감을 느끼는데, 본교 원우들을 중심으로 인터뷰를 시행해 이들에게 놓인 현실적 상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녹초가 돼가는 대학원생

 

  본교 박사과정 A씨는 사실상 결혼을 포기한 상태라며, “프로젝트와 논문 때문에 잘 시간도 없는데 연애를 어떻게 하냐”라고 씁쓸히 웃었다. 또한 박사과정 중에 결혼식을 올린 B씨는 당시를 회상하며 “어떻게 버텼는지 모르겠다”라고 혀를 내둘렀다. 결혼식 3일 전까지도 프로젝트에 집중하느라 밤샘 작업을 했다는 B씨의 얼굴엔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결혼을 준비하는 것조차도 힘든 현실에서 육아와 학업을 병행하는 원우들의 피로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4살짜리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박사과정 C씨는 “아이를 시어머니한테 맡기고 (연구실로) 출근할 때마다 너무 눈치가 보인다”라며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C씨는 학업을 마치기 전 아이를 가진 이유에 대해, 나이가 차서 임신에 어려움을 겪을까 무서웠다고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인터뷰 내내 아이에게 제대로 된 엄마 노릇을 못 하는 것 같다고 자책하는 그녀의 모습은 ‘학생부모’가 처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대학원생 부모들은 이리저리 치이며 ‘눈칫밥’을 먹는 경우가 다수다. 연구실에서는 지도교수와 동료들에게 양해를 구해야 하고, 가정에서는 배우자와 자녀에게 이해를 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C씨의 사례처럼 부모에게 도움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더욱 고민은 깊어진다. 하루에 죄송하다는 말을 가장 많이 한다는 이들이지만, 이들이 무슨 잘못을 했는지는 알 수 없는 노릇이다.

 

학생부모를 위한 실질적 지원을 촉구하며

 

  그렇다면 학생부모들을 위한 본교의 지원은 어떤 것이 있을까. 대학원 지원팀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현재 본교에는 임신·출산·육아가 필요한 학생을 위해 휴학 횟수 및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 ‘특별휴가(육아휴가)’제도가 있으며, 대학 차원에서도 위탁보육시설을 설치해 교직원과 원우들의 만 1~3세 자녀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학생부모가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배려한 정책이라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위탁보육시설의 모집인원이 한정적이라는 점에 아쉬움을 담는다. 또한 본지에서 만난 원우들은 “휴학을 하면 다시 학교에 돌아올 수 없을 것 같다”라는 불안감을 호소했기에, 휴학에 대한 지원보다는 이들이 애초부터 학업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선 시설과 관련용품 등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대표적으로 수유실을 들 수 있는데, 현재 학내에서의 공식적인 수유 공간은 없는 상태다. 310관 B1의 건강센터 내 수유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곤 있으나 이용사례가 낮아 홍보에 관한 아쉬움이 있으며, 공식적인 수유실이 아니라는 한계도 존재한다. 이에 대학원 지원팀은 국내 타 대학 사례와 대학원생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이용희망자를 파악해 수유실을 포함한 공간 제공 등에 대한 타당성을 조사할 필요는 있어 보이며, 다만 대학 본부와의 협의가 필요한 문제라고 답했다.

  현재 우리 사회는 저출산 문제와 고급인력 유출 및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학생부모과 같은 이들의 고민이 계속되는 한, 젊은 세대가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도, 연구자의 꿈을 안고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도 해결되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을 것이다. 이를 풀어가기 위해 수유실 설치, 위탁보육시설 인원의 확대 등 사회와 대학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라본다.

안혜진 편집위원 | ahj332@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