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인터뷰]


전(全)지구적 연대를 향한 국제자원활동


  ■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우리 사회의 큰 이슈다

  국제적으로도 디아스포라 현상이 확대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탈북자를 포함한 이주민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의 전환과 다문화주의 확산을 위해서는 한국사회에 만연한 동질성·동일화의 사고를 버리고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기본적 권리를 존중하고 상생의 가치를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삶과 개별 문화에 대한 존중이 우선돼야 한다. 이는 편견을 버리고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는 문화를 만드는 데서 시작한다. 아동기부터 이러한 가치를 생활 속에서 가르치고 실천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만남과 소통도 중요하다. 전(全)지구적, 초국가적 집합적 정체성(Global Collective Identity)을 형성하고 다른 지역과 국가의 문화를 존중하고 배워나가야 한다.
  다문화수용성을 높이는 정책도 이주민을 타자화하는 시각을 지양하고 함께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상생의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 다문화수용성이 시민참여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은 다문화수용성이 사회통합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통합이 인간적 가치, 자유와 평등, 존엄성의 고양을 의미한다고 할 때 공동체 구성원의 아픔과 고통을 나의 아픔과 고통으로 확장시켜 볼 수 있는 연대감을 형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연대감의 확장은 공동체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지구시민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문화 수용성의 제고는 정의와 인권의 확장, 자유와 평등을 통한 인간 자체의 고양과 더 높은 인간성 구현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 국제자원활동이 개인의 도구로만 사용된다는 우려도 있다

  국제자원활동은 단순한 교육적 활동이나 일회적인 경험이 아니다. 국제자원활동에 참여한다는 것은 지구화된 세계에서 지구시민으로서의 지속가능한 시민행동이다. 본 연구는 국제자원활동이 참여자 개인의 내적 보상이나 개인의 스펙의 측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회적 연대의 강화, 기부활동 및 다양한 시민행동과 시민참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했다.
  유네스코는 세계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청년들에게 그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총체적이며 변혁적이고 가치 기반적(Value Based)인 삶을 실천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국제자원활동이 하나의 이벤트나 경험 활동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지구시민으로서 책무성을 가지고, 참여 이후 어떻게 자신의 경험을 시민참여로 확대할 수 있을지 논의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야겠다.


  ■ 국제자원활동을 전 세대로 확장시킬 수 있는 방향이 있나

  그간의 국제자원활동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10대나 대학생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자원활동에 참여한 20대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20대를 청소년정책 범위에 포함시키는 국제활동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제자원활동에 지원 가능 연령과 참여연령, 정책연령에 맞게 국제자원활동에 대한 연구 대상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국제자원활동에 참여하는 대상이 청소년뿐만 아니라 전체 연령대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국제자원활동이 시민참여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다양한 세대로 확장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