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면한다


  작년 3월 대한민국 국민들의 마음을 시원케 해준 한 마디가 있다.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파면이란 ‘잘못이 있는 사람을 직업이나 맡은 일에서 쫓아내어 신분을 박탈함’을 뜻한다. 그런데 요즘 다시 한번 이 단어가 매스컴을 가득 메우고 있다. 본교를 비롯해 S대, K대, E대 등 국내 많은 대학에서 드러나고 있는 성폭행 가해 교수들을 향한 학생들과 사회의 분노 섞인 목소리를 통해서이다. 어쩌다 대학교수들이 파면당해 마땅한 존재가 되었을까.

  학생을 ‘지도’한다는 명분으로 몇몇 교수들은 제자를 늦은 시각 불러내 술을 따르게 하고, ‘격려’한다는 이유로 음담패설을 하며 강제로 스킨십을 시도하는 ‘짓’을 했다. 이것은 단지 한 개인의 일탈 행동에 불과한 것이 맞는가.

  미투 운동이 학교로 이어진 현재, 본교의 경우 문화연구학과 대학원, 경영학과, 일본어문학과, 조소과 등 몇 달 사이 많은 학과에서 고발이 터져 나왔다. 이 상황을 보면 학내에서 발생한 여러 성폭행 사건들이 대학의 비민주적인 구조, 권위적인 권력 관계 속에서 비롯된 사회문제라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 속에서 엄청난 두려움과 위험을 혼자 감수하며 피해 사실을 고발하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사회는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학문 공동체의 이름으로 모인 사람들이 또다시 2차 가해, 조직적 폭력을 재생산하며 피해자를 지옥으로 몰아넣을 것인가.

  우리는 <중대신문> 1914호에 실린 김창수 총장의 인터뷰를 기억한다. 당시 김 총장은 “중앙대에서는 미투 운동이 활발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엄중한 잣대로 성범죄 교수들을 처벌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총장의 인터뷰가 진심이라고 믿고 싶다. 그리고 ‘정중하게’ 요청한다. 이번 일본어문학과 K교수에 대한 인권센터의 파면 권고를 집행하라.

  학내 구성원들은 막말 교수 A에 대한 본부의 안일한 처벌을 기억한다. 학생들과 사회적 약자에게 가해진 언어폭력에 대해 본부는 눈감았다. 모든 국민, 언론사, 중앙대의 구성원들이 이번 사건을 함께 지켜보고 있다. 본부는 성범죄 교수 K에 대해 중징계를 내리고, 재발 방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싸움의 끝이 우리가 바라는 세상과 닮았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