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1% 건축조형물법’이 도입된 이래 정책적으로 확산된 한국의 공공미술은 2000년대 지자체들이 도심재생, 문화도시 등의 이름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일제히 뛰어들게 만들었다. 대표적인 예가 ‘아트 인 시티 프로젝트’이다. 이 사업은 지방에도 공공미술의 바람을 일으켰다. 그러나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유행처럼 번지면서 각 지역에서 성격이 비슷한 프로젝트들이 이뤄졌고, 도시계획 속의 공공미술은 ‘일회성 환경미화’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일례로 2007년 ‘아트 인 시티 프로젝트’가 시행된 대전의 대동 골목은 타 지역에 비해 예술 문화적 접근성이 떨어져 주민들 스스로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지원됐다. 당시 이곳에서 열린 미술전시는 많은 이들로부터 주목받았으나 현재는 설치작품들의 관리와 유지 보수가 미비해 벽화는 빗물 자국에 흐려졌고, 일부 작품들은 원형이 훼손된 채로 방치돼 있다. 동네어귀에는 사업 시행 초에 걸었던 ‘주민 참여 사업이 시작 됩니다’라는 플랜카드가 아직도 걸려있다.  

 
 

  프로젝트를 통해 공공미술이 단지 공간에 오브제를 설치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공공성의 실현’을 고민하는 방향으로 진화돼 가고 있음은 긍정적인 변화이다. 그러나  지역주민 각각의 감수성을 발견하고 그것에 생명을 부여하는 차원에서 보면 그 미비함이 여전하다. 오늘날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 공공미술이 오히려 주민을 수단이자 도구로 사용한 허울 좋은 정책은 아니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박정민 편집위원  narannyoza@gmail.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