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호 [논쟁따라잡기] 진보정당과 선거 2
2003-04-04 14:56 | VIEW : 18
 
161호 [논쟁따라잡기] 진보정당과 선거 2

지난 25일 보궐 선거중 동대무구와 구로구에서 민주노동당과 사회당은 나란히 후보를 냈다. 민주노동당과 사회당의 선거전략은 다르다. 여기에는 두 당이 지향하는 진보정당의 위상과 선거를 보는 시각차가 반영돼 있다. 이번 논쟁따라잡기에서는 민주노동당과 사회당이 사고하는 선거에 대해서 들어보고자 한다.

장기적 전략으로 선거를 사고하자

김종철/민주노동당 부대변인

민주노동당 내에 선거에 관한 통일적이거나 공식적인 견해는 없다. 그러나, 굳이 말하자면 전국적이면서도 동시에 지역적인 정치활동의 결과로 선거를 바라본다는 것이다. 이 말은 민주노동당이 평소에는 전국적인 정치활동을 하다가 선거가 다가오면 유리한 지역이나, 상징적인 지역을 선택해 임의로 선거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오히려 지역운동의 결과로서 선거를 바라보며, 향후 지역운동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기 위한 계기로서 선거를 바라본다고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민주노동당은 (지역구) 선거에 관해 적어도 정당명부제가 도입되지 않은 현재의 정치지형 상에서는 전략적인 사고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노동자·민중의 정치세력화라는 대명제와 선거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정치세력화에는 노동운동을 중심으로 한 대중운동의 발전과 강화가 가장 중요한 것이며, 현재의 민주노동당은 이러한 대중운동의 결과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 운동은 거꾸로 정체에 빠져있는 대중운동을 강화시킬 계기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특히 지역대중운동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지방자치 측면에서 보자면 노동운동과 지역주민운동의 결합으로서 지역자치단체를 책임지고 있는 울산의 몇 개 구를 들 수 있고, 노동자당(PT)이 운영하고 있는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에서 수많은 지역주민들을 진보적 활동가로 만들어낸 참여예산제 등의 활동 역시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구로을·동대문을 재보궐선거를 치르면서 민주노동당은 가장 크게는 집권 4년간 신자유주의 정책을 통해 노동자·민중을 피폐하게 만들었던 민주당 김대중 정부의 실정을 부각하고, 아울러 이의 대안이 한나라당과 같은 수구정당이 아님을 역설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지역의 주민들은 우리에게 쉽게 신뢰를 보내지 않았다. 우리의 주장이 아무리 옳다 하더라도 신뢰를 보내고 대안의 정치세력으로 선택할 제반조건이 무르익지 않았음을 뜻하는 것이었다. 오히려 지역주민들은 선거 이후에도 민주노동당이 과연 이 지역에서 주민들과 함께 열심히 활동할 것인지를 거듭 확인하려고 했다. 물론, 이는 국회의원을 지역대표자로만 보는 잘못된 의식 그리고 정당명부제가 도입되지 않은 조건에 가장 크게 기인한 것이지만, 대중을 움직이고 세력화하기 위해서는 대중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호흡하고, 투쟁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번 선거에서 민주노동당 선거운동본부와 후보들은 단순히 당의 주장을 선전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선거 이후에도 이 지역에서 민주노동당 운동, 진보적인 지역대중운동을 함께 할 조직, 인사들을 발굴해 내는 것에 큰 비중을 두었다. 이 성과를 바탕으로 민주노동당은 지역권력을 장악해 들어가고, 궁극적으로는 전국권력을 장악해 들어갈 것이다. 노동자·민중의 정치세력화에 있어 민주노동당이 단순히 과거의 전술정당이 아닌 것처럼, 선거 역시 좀더 길게 전략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할 것이다. 선거에서조차 아무런 성과를 낼 수 없는 정치세력이 보이콧 전술을 들고 나온다 해도 그것이 허구적 선동에 지나지 않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