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호 [사설] 회칙 개정에 앞서서
 
 

159호 [사설]

회칙 개정에 앞서서

 

전체대표자회의(이하 전대회)를 앞두고 원총에서는 회칙 개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사실 회칙 개정에 대한 논의는 과거에도 간간이 불거져 나오곤 했었다. 요컨대 그것은 실질과 형식의 문제로 요약된다. 즉 대학원을 구성하는 실질적 주체에 대한 고민들.

그러나 각 과·계열이 처해있는 사정이 다르다는 이유로, 또는 대의제의 형식을 포기할 수 없다는 이유 등으로 회칙 개정 논의는 산발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전례에 비춰 볼 때 이번 경우는 사뭇 다르다. 무엇보다도 원총에서 이번 회칙 개정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회칙 개정을 제기하는 데에는 어떤 정황이 있었을 것이다. 지지부진한 계열학생회에 대한 근본적 문제의식, 상반기 감사과정과 이후 중앙운영위원회에서 불거져 나온 공대 계열대표 사퇴 문제 등은 그 논의를 가속화시켰을 것이다. 또 ‘총체적 난국’이라 형용하여도 무방할 현재 대학원 자치기구의 상황을 감안한다면, 회칙 개정의 정당성은 충분히 납득할 만하다.

무엇보다 계열학생회를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계열학생회의 문제는 계열대표의 자질로 요약될 수 있는가. 문제가 있는 대표를 다른 대표로 교체하는 것이 계열 문제의 핵심인가. 오히려 그 근저에 놓여있는 구조적 원인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바로 이 점에서 계열학생회로 대표되는 ‘대의제’를 전향적으로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이 문제에 있어서는 대학원 사회 고유의 특수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대학원의 제 주체들은 연구를 기반으로, 그 목적으로 삼는다. 그런데 대학원에서 주체는 누구를 말하는가. 그것은 조직된 연구자, 즉 연구회 구성원일 수도 있고, 개별 연구자 모두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물론 이 문제는 간단치 않아 보인다. 때문에 성급한 결론은 내리기에 앞서서, 충분한 논의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자칫 회칙 개정 문제는 형식적인 절차의 번복과 문구 바꾸기에 그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지금까지 대학원 사회의 어정쩡한 공론 형성과정 자체가 이를 설명한다. 때문에 우리는 이번 회칙 개정 문제에 있어서 원총의 적극성을 요구한다. 충분한 그리고 발본적인 정책을 만드는 일도 중요하지만, 이번 논의과정에서 대학원의 문제를 ‘어떻게’ 토론해 나가느냐가 보다 중요한 일이다. 아무쪼록 앞으로 진행될 회칙 개정 과정이 대학원 사회의 의사소통과정에서 하나의 본보기로 자리잡아 일진보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