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호 [사설] 복지위원회가 아닌 대학원 총학생회를 원한다
 
 

173호 [사설]

복지위원회가 아닌 대학원 총학생회를 원한다

 

대학원 총학생회는 대학원 복지위원회가 아니다. 현 대학원 총학생회는 본교 대학원생들의 이해와 권익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자치기구로서 많은 선배들의 피와 땀이 어린 소중한 공간이다. 지금도 대학원 총학생회실에 걸려있는 선배들의 피로 쓴 ‘義血’이란 액자는 대학원 역사가 어떤 경로를 거쳐왔는지를 반증한다. 대학원 총학생회는 교직원과 더불어 대학원생들이 교육의 주체로 참여하여 보다 나은 연구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는 것을 자신의 위상과 역할로 삼는다.

그러나 2002년 상반기 대학원 총학생회는 대학원 복지위원회에 가까운 사업을 펼친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발언을 하게 된 근거는 지난 8월에 치러진 대학원 총학생회 감사를 참관하고 난 후의 소감과 감사위원들이 제출한 감사자료를 통해 얻어진 것이다. 대학원 총학생회 사업의 주요한 사업인 정책사업과 학술사업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이다.

학부의 인권복지위원회는 학부생들 스스로가 확보한 권익 영역 안에서 복지사업을 펼쳐가는 것을 자신의 주된 성격으로 삼고 있다. 이와 달리 총학생회는 인권복지위원회가 펼쳐가는 사업을 기본으로 하여 보다 그 외연을 확장하는데 자신의 위상이 있다.

지난 제23대 대학원 총학생회와 학부 총학생회, 그리고 대학본부는 등록금 협상과 교육환경 제반 사항을 논의하기 위한 교육연구환경개선위원회를 매월 1회 개최하고 회칙에 명시하기로 한 바 있다. 또한 입시전형과 학사일정 조정 등과 관련하여 대학원생을 교육의 주체로 인정하고 대학원생의 발언권 확보와 민주적인 학사일정 참여를 보장할 수 있는 대학원 운영위원회를 1학기에 1번 개최하기로 한 바 있다.

아울러 도서관 백서사업, 박사후 과정 제도 도입 등의 사업을 지난 제23대로부터 물려받아 건설된 제24대 대학원 총학생회는 이러한 제반 정책사업을 상반기동안 진행시킴에 있어서 많이 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사업의 결과물이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아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대학원 총학생회는 홍보국까지 신설했지만 일반 원우들에게 정책사업 일반에 대한 진행상황을 상세하게 공지한 바 없다. 또한 대학원의 중심활동인 학술연구를 관장해야 할 학술사업은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계열연구회와 학술기획위원에게 끌려다녀 일관성있는 사업을 펼치지 못했다.

2학기 개강과 함께 실질적인 사업 기간이 두 달여 남은 지금, 지금이라도 대학원 총학생회는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인해야 할것이다. 그러한 토대 위에서 새롭게 시작한다면, 정책사업과 학술사업을 끊임없이 확장시켜 복지 사업과 함께 총학생회의 삼두마차를 끝까지 잘 몰고 가서 향후 대학원 사회의 좋은 밑거름이 될 것임을 믿는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