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호 [사설] 박사 후 과정 논의에 거는 기대
 
 

175호 [사설]

박사 후 과정 논의에 거는 기대

 

최근 대학원총학생회(이하 원총)와 대학원 기획정조정실과 연구지원처는 박사 후 과정(Post-Doctor)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박사 후 과정은 현 제24대 원총의 주요한 공약 사항이면서 동시에 최근 발표된 드래곤 2018 내용 중의 하나이다. 드래곤 2018은 개교 1백년을 준비하면서 명문 사립대학으로서 도약하기 위한 학교발전 실행 계획을 가리킨다.

대학 차원의 학문후속세대 육성과 학술연구 활동을 연계시켜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제도인 박사후 과정이 타대학에 비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본교에서 시행될 것이라 하니 미취업 우수연구자들의 학문연구활동 지원과 기반 구축이라는 점에서 크게 환영할 일이다.
IMF때 각 대학원들이 입학정원을 늘렸는데, 이는 일부 대학의 경우 학생들이 마치 돈벌이의 수단이 되어버린 결과를 낳았다. 그 결과 필요 이상의 학력 인플레 현상이 일어났다. 수요보다 많은 박사들의 양산으로 박사들의 실업문제는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대학에서는 박사인력 상태를 파악해서 대책을 세우려고 프로젝트를 준비중인데, 샘플 채취도 하기 힘든 상황이다.

사실 교육부는 지난 96년부터 박사 후 과정자 연구지원사업을 벌여 한해 3백여 명에게 1인당 1천 4백만원에서 1천 6백만원씩 모두 50억원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런 재정적인 지원만으로는 박사실업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각 지역별로 연구소를 설립해 <박사인력 인력 풀>을 가동해 공동으로 인적자원을 활용하자고 제안한다. 이에 정부는 대학교수, 연구원, 대학 시간강사 등 박사급 고급인력을 통합 관리하는 종합정보망을 구축해 박사 실업자 구제와 체계적인 인력수급계획에 들어갔다.

현재 박사 실업군이 2만 2천명에 이르는 시점에서 시간강사는 전국에 5만 7천명 정도로 정규직 교수보다 그 수가 훨씬 많다. 연구활동과 생계활동을 펼쳐가야 하는 본교의 박사졸업생들을 비롯한 시간강사들은 2002년 4월 현재, 교과목 중 전공과목 31.5%를, 교양과목은 무려 85.6%를 담당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강사들은 일정한 직업이 없어서 연구활동과 실질적인 생계활동 사이에서 극심한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학교당국은 박사 후 과정의 위상 및 연구자에 대한 관리 문제와 재정 문제라는 주요한 논제를 연구자들의 입장에서 정리한 원총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면 한다.

원총과 학교당국의 대학원 구성원 모두가 실질적인 연구자들의 연구활동과 본교 학술풍토 진작을 위한 박사 후 과정이 시행되기를 희망하면서 원총과 학교당국의 활동을 진지하게 지켜보고 있음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변화와 발전을 창조하는 본교의 학술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포닥 제도가 좋은 결실로 맺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