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호 [인터뷰] 김명수 24대 대학원 총학생회장
2003-03-09 02:13 | VIEW : 7
 
165호 [인터뷰] 김명수 24대 대학원 총학생회장

다가서는 원총, 학술사업의 지원자 되고자

“23대 대학원총학생회(이하 원총)은 비판적 지점과 변화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칭찬할 만 합니다. 물론 상반기 공과계열과 집행국 등 내부의 문제가 있긴 했지만, 하반기에는 이를 잘 해결한 것 같고요. △대중 속의 학생회 지향과 △학칙개정 반대에 기초한 대학원운영의 민주화 등도 23대 총학생회의 빼놓을 수 없는 성과일 겁니다.” 2002년 24대 원총 회장을 맡은 김명수(경제학 석사 3차)씨는 지난 23대 원총을 이렇게 평가했다. 지난 23대 원총 최대 업적이 ‘학칙개정 무효화’인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만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된 것이며,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24대가 이를 이어받지 않는다면 23대 하반기 사업은 거의 없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학칙개정반대에 기초한 대학원 운영의 민주화 등도 23대로부터 이어 받을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아직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 사업계획은 없습니다. 하지만 23대에서 일궈낸 대학원연구환경개선위원회를 통해 학칙개정 이후의 제반문제에 대한 지적과 개선에 집중할 것입니다.” 24대 원총이 23대와의 단절이 아닌 하나의 흐름이며 개선과정임을 강조했다.    

  “24대에서는 특히 학술사업 패러다임 전환에 주력하려 합니다. 전처럼 원총이 학술사업을 주도자가 아닌, 각 연구단체의 학술사업에 대한 지원자로서 나아가는 게 옳다고 생각하고요.” 학술사업의 축에서 탈피하여 보다 현실성 있고 능률적인 연구활동을 일궈내겠다는 말이다. “이런 경우엔 각 계열 집행부의 역할이 보다 중요시 될 겁니다. 간간이 지적됐던 계열간사들이 학술기획력은 계열에 속한 학과와 계열 집행부와의 의사소통 곤란에 의한 것일 겁니다. 이번 계열 간사진들의 활동력은 제가 보장합니다.” 원총이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은 그만큼 계열 집행부가 실제 연구자와 원총 사이의 매개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계열별 집행부의 학술사업 기획·추진능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잘 되겠는갗하는 우려에 김명수씨는 자신감으로 일축했다. 각 계열 집행부에 대한 신뢰와 기대가 커 보였다.“학술조직자치위원회(준)을 신설하려 합니다.

대학원의 연구 실태와 활동들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학술조직자치위원회의 첫 번째 임무입니다. 또한 중앙우수논문와 중앙논단을 십분 활용하려 합니다. 특히 중앙우수논문은 그 골간을 유지하되 그간 가졌던 문제점을 개선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위해 대학원 행정실과 연구지원처와의 협상 테이블을 구성하겠습니다.”그간 지적된 ‘보여주기 식’의 학술사업에 대한 반성이 이뤄진 듯 하다. 자생적 연구활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원총의 의지를 보였다. “또한 박사후과정 제도과 같은 지원프로그램의 안착화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앞서 김명수씨는 23대 원총이 ‘대중 속의 학생회’를 지향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반 원우에게 있어, 웬만한 불편함으로 원총의 문을 여는 일은 쉽지 않다. 본 대학원에는 타대 학부출신이 많다. 이 상황에서 원총의 문은 타대 출신의 원우에게 있어 ‘문 없는 성벽’과 같을 수도 있다. “물론 일반 원우들에게 여전히 학생회의 문턱은 높아 보일 수 있을 겁니다. 이런 문제들이 원총만의 탓이라 여겨지는 건 좀 억울하지만, 그래도 우리의 노력이 더 요구되는 부분이겠죠. 원총 내에 홍보국이 생겼거든요. 홍보국이 전담하는 웹진과 게시판을 통해 일반 원우들에게 더욱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겁니다.” 작년 하반기 전체대표자회의에서 모학우의 지적처럼 ‘홍보부족’은 문턱낮추기의 최대 걸림돌일 것이다. 일반 원우와의 공감대형성을 위해 홍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더불어 일상사업에 더 많은 비중을 두겠다는 포부를 밝혔다.김명수씨는 24대 원총을 꾸려나가며 연구활동에 대한 능률적이고 현실적인 강화에 주력할 것이라 말했다. ‘성공을 빈다’는 격려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이 모든 것들이 가능하려면 무엇보다 신뢰회복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원총이 얼마나 투명하게 사업을 진행하고, 얼마나 대중적인 조직을 꾸려나가는가 하는 것이 신뢰회복의 관건이겠죠.”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