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제 실시 문제를 두고 논란이 한창이다. 교육부와 전교조, 교총의 협의는 무산되어 서로의 입장은 좁혀지지 않은 채 현재 시범실시 학교가 선정된 상태이다. 그나마 선정된 학교의 대부분이 학생수가 매우 적은 소규모 학교들이라 객관적 기준이 되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또한 전교조의 연가투쟁도 계속 된다고 하니 앞으로 교원평가제의 길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듯 싶다.

현재 교사들을 다면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시스템은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다. 그나마 시행되고 있는 근무평정제는 문제가 많다. 이를 통해 학교장과 교감은 일방적으로 교사를 평가하나, 그결과의 공개는 의무가 아니다. 기준도 명확하지 않고 상대평가 방식이라 교사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어 왔다. 특히 전교조 소속 교사들은 나쁜 성적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는 피해의식 때문에 이 제도의 폐지를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그런 면에서 교원평가제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시행에 있어서 방법론상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평가위원회 구성 시 교장·교감이 참여하는 1안과 배제하는 2안으로 나누어 학교에서 선택하도록 하고 있지만 교장·교감의 참여의 필요성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다면평가제이기 때문에 교사들이 상·하향 또는 동료간 서로 평가를 함에 있어서 제대로 이루어질지도 의문이다.

이런 평가시스템을 두고 볼 때 우리의 강의평가제 또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평가가 강의 내용에 반영이 되는지, 시간강사와 전임교수와의 차등을 두고 있지는 않은지 제대로 파악할 길이 없다. 현재 우리의 평가시스템이 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반성해봐야 한다.

자질이 떨어지는 교사를 교육의 주체가 되는 학생과 부모들이 평가하는 것은 올바른 일이다. 하지만 그 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뤄질지에 대한 확신은 없다. 그에 대한 철저하고도 명확한 기준과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입시중심의 교육구조나 과중한 수업시수와 잡무, 권위주의적 학교 운영 등 교육 여건과 환경이 함께 개선되지 않고서는 교원평가제의 성과도 기대할 수 없다.
현재 교원평가제가 미흡한 점이 있지만  모두의 참여와 합의를 통해 교원평가제가 제대로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의 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