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계열의 학문적 특성을 탐색하며

 

  연구에서는 전공 분야별로 추구하는 지식 특성, 교육 과정, 교수의 역할과 과업 등에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다. 학문은 세부적으로는 ▲인문계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계열 ▲예체능계열로 나누기도 하지만 크게 천문학, 곤충학, 토목공학, 컴퓨터공학, 화학 등의 이공계열과 역사, 철학, 인류학, 심리학, 정치학, 경제학 등의 인문사회계열 두 파트로 나누곤 한다. 이에 본지는 이공계와 인문사회계는 어떠한 차이를 갖고 있는가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서로 다른 두 계열

 

  먼저 이공계의 학문적 특성으로는 명확한 패러다임, 실험에 기반한 지식 습득, 발견과 설명 중시 등이 있다. 따라서 연구의 실험 및 자료를 통한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실 및 실험실의 환경, 연구에 필요한 재료나 장비의 단가가 높기 때문에 연구비의 규모도 매우 크며, 국가 지원이나 기업체의 연구 의뢰 및 재정지원도 많다. 또한 동료들 혹은 교수와 함께 실험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실험해 결과를 분석하는 ‘프로젝트’ 형태의 협력적 연구를 진행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수와의 접근성이 인문사회계열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며, 실험이나 연구회의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더불어 인문사회계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이공계 분야에서도 연구 활동이 더욱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학술적 기여도가 높은 저널에 투고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국제 학술지의 논문 게재 수 및 인용도가 임용, 심사, 연구비 지원 등에 반영되는 것이다.
  인문사회계열의 학문적 특성으로는 역사, 철학, 예술 등을 연구하며 인간의 존재와 삶의 본질 등을 탐구하는 성향이 강하다. 논문에 있어서는 실험 중심의 이공계와 달리 사회적 현상들을 제재로 사용해 분석 및 설명하는 방식이다.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전해도 인간의 내면을 분석하고, 사회의 흐름을 짚어보며 이해하는 인문사회학적 소양은 더욱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공계열에서 협동적으로 다량의 연구를 할 때, 인문사회는 개인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다수라 산학 협력적인 활동을 진행하기가 어렵다. 또한 인문사회계열에서는 가설의 아이디어, 독창적인 검증 방법으로 논문을 인정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공계열에 비해 그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국제 저널에 게재하기가 어렵다. 덧붙여, 적절한 단어로 번역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불어 연구를 지원하는 곳도 많지 않으며, 실험실 혹은 연구실이 확보된 학과를 찾기도 어렵다. 연구 규모에 있어서도 올해 이공 분야는 7,842개 과제 5,474억 원인 반면 인문사회 분야는 5,469개 과제 3,630억 원으로 차이가 크다. 아울러 예체능계열에서 실기를 전공하는 경우에는 연구보다는 작품활동에 더 치중돼 있다. 통상적으로 박사 졸업 논문도 졸업 전시를 기반으로 자신의 작품 세계관에 관해 저술한다. 이처럼 각각의 학문 분야가 추구하는 특성과 기준, 교육 과정 등에서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전임교원 임용 시에도 연구실적을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다. 본교 교원임용 업적평가 기준에 따르면, 이공계의 경우는 JCR 상위 20% 주저 1편 또는 JCR 주저 3편의 연구를 200% 반영하며, 인문사회의 경우 대체로 국내외 등재지 연구를 400~450% 반영한다. 예체능의 경우에는 이론은 등재지일 경우 300% 반영하고, 실기는 작품활동을 세부항목에 따라 최대 200점을 부여한다. 이처럼 임용 및 교수승진 등에서 학문 분야별로 차등을 두는 것이다.

 

백년대계를 위한 합리적 지원 필요

 

  그동안 이공계에 다소 치우쳐 있던 연구과제, 재정지원 등을 막기 위해 2016년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바 있다. 이는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인문사회계열은 오히려 축소됐다. 이에 교육부는 「2022년 인문사회분야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는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 연구를 지원 확대하는 방향으로 추진한다고 명시돼 있다. 인문사회분야 연구역량 강화 및 학술기반 구축을 위해 융합 연구 등을 장려하고 발전시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이공계와 인문사회계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연구 규모 및 재정지원 등의 격차를 좁히려는 학계의 노력과 정부의 정책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이소민 편집위원 | sominsophialee@gmail.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