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교수가 사라지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이 발간한 「2021년도 대학연구활동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제 대학 60대 이상의 전임교원 비율이 2016년 18.5%에서 재작년 21.7%로 점진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대 이하의 경우 2016년 9.3%에서 재작년 9.0%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30대 이하의 젊은 교수의 비율은 계속해서 줄고 있는 것에 반해 60대 이상의 교수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한마디로 대학교수의 고령화가 멈추지 않고 있는 것이다.

 

고령화 발생 이유

 

  고령층 교수가 늘어난 데에는 교수의 정년을 보장하는 제도의 영향이 크다. 또한 현재는 베이비붐 세대인 50~60대 교수의 규모가 정점에 달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게다가 50대 교원의 점유율이 높은 상황이기에 향후 10년 이상은 현재와 같은 고령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할 전망으로 보인다. 〈더 체어〉(2021)에서도 테뉴어(Tenure) 제도와 교수법의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다. 작품 속 노교수들은 30년이 지난 이후에도 과거 주목받았던 자신들의 논문으로 똑같은 강의를 고수하고 있다. 이에 학과장이 수강생들의 강의평가를 확인하는지 묻자, “나는 영업사원이 아니다”라는 답만 돌아올 뿐 개선하려는 모습은 보이지 않아 씁쓸함을 더했다. 국내와는 다른 지점도 있지만 오늘날의 현실을 비춰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대학은 경제적 문제 탓에, 정년을 보장할 경우 부담 비용이 큰 젊은 교수 대신 고령 교수를 임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그뿐 아니라 겸임교수·초빙교수·외래교수 등 비정규직 교수를 뽑아 교원을 확보하는 ‘꼼수’를 쓰기도 한다. 이들은 본직에서 4대 보험에 가입돼 있는 경우가 다수라서, 개정 강사법에 따라 4대 보험을 제공해 줘야 하는 강사와 달리 학교에서 복지를 보장해 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초빙교수와 겸임교수는 교원의 지위를 부여받지 못하고, 방학 기간 내 임금 지급 등이 보장되지 않아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균형이 필요하다

 

  대학교수의 고령화 및 계약직 교수의 증가 현상은 교육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관해 원우들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 익명을 요구한 A원우는 수업의 절반 이상을 해외여행 다녀온 사진만 보여 주고, 자신이 그간 이룬 업적에 대해 자랑만 하기 바빴던 한 노교수의 일화에 관해 말했으며, B원우는 수업 내내 책을 줄줄이 읽기만 했던 노교수보다 매 수업마다 최근의 흐름을 반영해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 쉽도록 노력한 젊은 강사의 수업이 더 좋았다고 언급했다. 물론 이러한 사례들이 고령 교수에게 모두 해당된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연구의 최근 트렌드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기존의 교수법만을 고수하는모습은 원우가 공감하는 부분이다. 반면 C원우는 오히려 젊은 교수에게는 없는 고령교수만의 실질적 노하우와 오랜 경험 등을 배울 수 있어 좋았다고 답하기도 했다. A·B원우가 언급한 것처럼 일부 고령교수의 부실한 수업 준비, 오래된 강의법 등은 학생들의 교육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C원우의 의견도 중요하다. 세계적 석학의 고령 교수도 많고, 그들로부터 부단히 쌓아 온 오랜 경험과 전문적인 지식과 지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젊은 교수의 열정과 고령 교수의 노하우가 적절히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교수사회의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

 

교수법 개발 및 신진학자 지원

 

  재작년 4월 13일자 포브스(Forbes)에 따르면, 앞으로 학생 수가 줄어 학교의 재정은 막대한 위기에 처하고 인건비감축을 위해 정년 보장하는 교수의 채용을 더욱 더 줄이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렇듯 교수사회의 고령화는 앞으로도 피하기 힘든 현실이다.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춰 고령 교수들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접목시킬 수 있는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석·박사를 취득한 신진학자들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 신진학자들의 유출에 따른 학문후속세대의 부재는 국내 학계의 발전흐름을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대학 연구의 시대 간 공백을 발생시킨다. 이에 학교와 정부가 함께 나서 강사법 개정 및 재정지원 등 관련 대책을 시급히 논의할 때다.

 

이소민 편집위원 | sominsophialee@gmail.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