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수업 전면 자율화, 차분히 검토해야…

 

  지난 9월 9일 교육부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대학 내 원격 교육을 전면확대하겠다는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방안’ 정책을 발표했다. 원격수업 운영에 대한 규제를 개선해 현행 총 학점의 20% 이내로 개설 가능한 원격수업을 전면 자율로 전환하겠다는 것이 주 골자다. 이에 대학 관련 단체들이 22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정책 철회 기자회견을 진행하며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이들은 원격수업이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시행된 것인 데다가, 해당 지원방안이 교육질 담보와 교·강사 채용, 등록금 산정기준 등의 여파를 고려하지 않은 점에 대해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경고했다.
  본지 역시 상반기 기사들에서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을 짚었다. 일부 강의에서 유튜브로 수업을 대체하거나 3시간 수업을 30분간 진행하는 등 수업권을 보장받지 못한 사례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2학기에 해당 잡음은 해소되지 않았고 오히려 1학기 수업자료를 재사용하는 경우가 등장했다. 이처럼 교육컨텐츠의 경우 교수 재량에 해당해 학교와 교육부가 개입할 수 없어 해당 내용은 강의평가가 업적평가에 반영되는 방식으로 보완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가 제시한 원격수업 강의 평가를 학기 중 2회 실시하는 것으로는 즉각적인 피드백 반영이 어렵고 표준화된 수업 체계를 구축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전면 자율화된 원격수업의 경우, 이와 같은 소통 체계의 구축에 더욱 힘쓸 필요가 있을 것이다. 비대면 원격수업에서도 좋은 수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강의평가의 횟수를 늘리기보다 교수와 학생 사이의 쌍방향 소통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해당 정책이 발표되며 석사학위를 온라인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됐다. 또한 교육부는 국내 대학과 국외대학 간의 온라인 공동 학위 과정을 개설하겠다고 했다. 이 발표에 의학, 치학, 한의학 전문대학원과 법학전문대학원은 제외됐다. 온라인 학위 과정도 걱정덩어리인 것은 마찬가지다. 대학원은 무릇 연구와 지식 재생산을 하는 담론의 장임에도 불구하고 교육부의 정책에선 이 의제가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상반기 대학원에서는 이미 현장 기반조사와 자료수집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논문작성에서도 지도교수 및 동료 연구자와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학부에 비해 수업의 자율성이 크기 때문에 학생 간 격차가 상당해 소통이 매우 중요한 부분인데도 이것이 간과된 것이다. 심지어 더 큰 문제는 이런 상황을 진단할 그 무엇조차 갖춰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맞춰 개선안이 발표돼야 하는 것이지, 일단 방안부터 내놓는 것은 좋은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교육부도 이 점을 반드시 유념해 더욱 효과적인 정책을 발표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