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말한다는 것]


‘인’권에도 무게가 있나요


  3월 17일, 비례연합정당 관련 논의에서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은 “성소수자 문제로 불필요한 소모적 논쟁을 일으킬 정당과의 연합은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 비례대표에 트랜스젠더 후보를 공천한 녹색당의 합류 여부에 대한 입장이었다. 해당 발언은 많은 인권단체와 성소수자단체의 공분을 샀고, 윤 사무총장은 모든 국민이 인권을 존중받을 자격이 있으나 해당 문제를 선거 이슈로 만들고 싶지 않은 생각에 피력한 의견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당사자들이 그 발언에 불쾌감을 느꼈다면 이에 대해선 유감의 뜻을 밝힌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지금껏 정치권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에 얽혀 타자화되고 소모됐던 성소수자의 ‘이름’들을 떠올려보면 이런 논란과 해명의 반복은 이제 놀랍지도 않다.
  2017년 대선 후보 TV 토론에서 동성혼 합법화에 대한 이슈를 놓고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는 성소수자 인권 관련 입장을 ‘나중에’라는 말로 미룬 바 있다. 정부는 사회적 합의를 이유로 들며 차별금지법 제정을 늘 ‘검토 중’이다. 인권은 말 그대로 한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차별하고 혐오하는 행동을 막기 위해선 법의 힘을 빌려야만 하는 이 사회의 모습은 절망적이기만 하다. 심지어 그조차도 주류의 입맛에 따라 축소되고 연기되는 현실이다. 누군가의 의견을 묻고 비위를 맞춰야 겨우 성립되는 자유는 근본적으로 출발점이 다르다. 그렇기에 가장 중요한 인권이라는 개념부터 일그러진 채 획득해야 할 그들의 자리는, 오늘도 ‘가볍게’ 밀려날 뿐이다. 

이희원 편집위원 | ryunish@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