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신]

온전한 마침표를 위한 노력

  지난해 12월 공론화를 기점으로 사회복지학과 성폭력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대자보 훼손 등과 같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피해자 연대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의 의지가 모여, 마침내 피신고인에 대한 인권대책위원회의 퇴학처분 권고가 내려졌다. 이후 본지의 취재 결과, 대학원지원팀으로부터 피신고인에 대해 “다시는 우리 학교에서 더 이상 수학할 수 없는 조치를 취한 상태”라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공론화 이후 9개월이 지나서야 듣게 된 답변이었다.
  대학원의 일부 학과 및 대학원총학생회는 ‘공동체 내 반(反)성폭력’의 일환으로 관련 내규 및 회칙 개설을 진행 중이다. 특히 문화연구학과는 학과 성폭력 내규 작업의 막바지를 앞두고 있다. 과거 C강사 성폭력 사건 이후 구성원 간의 소통과 합의가 만들어 낸 소정의 결과다. 내규 개설에 참여한 한 원우는 “학과장·조교·과대가 여건 상 방중 3회로 작업했다”며, “초안 작성 시 본교 및 타 학교의 성폭력 관련 내규 등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덧붙여 “완성된 초안을 구성원들에게 공유하고 의견 수렴을 받을 예정”임을 전했다.
  물론 이러한 작업들이 무조건적으로 반(反)성폭력 공동체를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성문화된 사항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성폭력 사건을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하지 못한 채 그저 법을 어긴 몇몇의 일탈로 여기는 경향이 생겨나기도 한다. 사건의 재발 방지 및 근절을 위해서는 ‘공동체 내 젠더감수성’의 함양이 필수적이다. 한국성폭력상담소가 발간한 ‘지금 시작하는 젠더감수성’에서 명시하듯, 젠더감수성은 “성폭력이 발생한 사회구조를 이해하며 섹슈얼리티의 위계와 폭력의 문제를 함께 이야기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만든다. 결국 공동체 내 젠더감수성이 부재한다면, 내규와 회칙 모두 ‘외화내빈(外華內貧)’에 불과할 것이다.
  시간이 흘러 공론화된 성폭력 사건들이 마무리되는 양상을 보이는 듯하다. 그러나 이제 막 하나의 쉼표가 찍혔을 뿐, 온전한 마침표라고는 할 수 없다. 반(反)성폭력 공동체를 위한 시도의 귀추에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한재영 편집위원 | yodream90@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