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제38대 대학생 총학생회장단 선거를 앞두고

 

다시 일어서는 대학원 총학생회

  “본회는 자치활동을 통하여 회원의 권익을 옹호하고, 학문연구 및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함으로써 중앙대학교의 의와 참의 교육 이념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대학원 총학생회 회칙 제1장 제2조)”

  지난달 29일, 대학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한 차례의 후보 등록 기간 연장 끝에 공민표(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사과정) 원우와 김선미(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원우가 정·부 후보로 등록했다. 2017년 상반기를 총학생회장 없는 ‘비상’ 속에 보낸 대학원의 입장에서 볼 때, 이들의 출마가 단일후보임에도 반가울 수밖에 없다. 비대위는 제37대 총학생회장이 비대위원장을 연임하여 사업 진행 측면에선 무리가 없었다고는 하나, 타 대학원이나 본부와의 협의 과정에 있어 자치기구로서의 대표성을 띠기엔 부족했을 수밖에 없다.

 
 

삼천 원우의 ‘자치기구’, 대학원 총학생회


  본교 대학원 총학생회(이하 원총)는 1979년 ‘원우회’를 모태로 하고 있다. 원우회의 특성상 학내 다양한 원우들의 목소리를 취합하여 학교 당국에 전달하거나 견제하는 데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원우들을 대표할 자치조직으로서의 원총을 필요로 하는 목소리들이 모여 1988년 제10대 정·부 대표를 선출하며 원총을 탄생시킨다.

  원총은 그간 많은 것들을 이루어냈다. 대학원생들의 연구 증진을 위한 학술 운동은 물론, 1988년과 1989년 대학원 자체 공간 확보를 위해 유례없는 총장실 점거와 단식농성 끝에 302관 대학원 건물을 마련했다. 또한, 원총은 등록금심의위원회 참석, 단위요구안 작성 및 전달, 장학금 마련 및 확대, 연구공간 확보와 같은 사업과 함께, 환경 기반 시설 구축사업, 학술사업, 행정적 수완 등 크고 작은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원총’이라는 형식의 자치기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성취들이었다.

  물론 원총이라는 기구를 유지하는 것에 때로는 어려움도 있었다. 2017년 상반기뿐 아니라 2006년, 2011년 각각 비대위 체제를 꾸린 경험이 있다. 비대위는 다음에 출범할 원총에 배정된 예산을 임의로 쓸 수 없는 등 원총에 비해 제한된 기능만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 또한, 원우의 공식 대표기구로서의 역할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2011년, 1년이라는 유례없이 긴 공백의 비대위 체제가 유지되는 동안 원우들을 위한 이렇다 할 사업적 성과를 이뤄내지 못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대학원 총학생회, 제자리 찾나


  “제37대 원총의 미흡한 사업들을 마무리하고, 비대위 체제 간 학교와의 원할하지 못했던 협의 과정을 극복하고자 나왔다”며 출마의 변을 밝힌 제38대 원총 정·부대표 후보자들은, 제37대 원총과 비대위 기간 동안 각각 사무국장과 복지국장을 역임했다. 공 후보자는 사무국장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원우들의 학내 생활지원 사업 확대와 원우들의 의견 수렴 창구를 만드는 것”을 공약에 포함시켰다며 “원우들을 위한 원총”으로서의 의지를 다졌다. 김 후보자 역시 복지국장으로서의 경험을 되새겨 “학교생활과 연구환경 개선에 큰 책임감을 가지고, 원우들의 불편을 적극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렇듯 제38대 원총이 올 하반기에 시작해, 한 학기로 그 임기가 끝나게 될 것임에도, 원우들을 직접 마주했던 경험이 있다는 것은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원총의 안정적인 출발을 예상하게 한다.

  하지만 아쉬움도 있다. 우선 후보자들이 내세운 핵심공약 대부분이 지난 제37대 원총 사업의 연장 또는 마무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으로 ▲학과별 공간문제 해결 ▲홈페이지 개선 ▲다양한 계열을 위한 명사 특강 등이 그것이다. 물론 한 학기 가량의 짧은 임기 내에 이렇다 할 새로운 사업들을 진행해 나가는 것이 현실적인 무리가 따른다. 그럼에도 새로운 모습이나 시도 없이 ‘현상유지’에 방점을 둔 공약은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한편, 원총 운영 시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사항들의 개선책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도 아쉽다.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위) 운영이 한 예다. 계열 대표나 학과 대표에 대한 원우들의 불만을 즉각적으로 접수할 창구 마련의 구체적 내용이 미흡하다.원우 A는 “학과 대표의 업무 태만을 직접적으로 제재할 현실적인 방안이 없다”며 “중운위의 자치권이 존중받는 것은 좋으나 내부적 견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질문에 후보자들은 “지난번 개정된 학칙을 통해 등록금 환수 등의 제제를 가할 수도 있지만, 그보다 더 적합한 해결 방안들을 고민 하겠다”고 의지를 내비쳤다.

  마지막으로 지난 제37대 원총의 부족했던 점을 고민하고 보완하려는 의지가 아쉽다. 지난해 본부는 310관 공간 배정 결과를 일방적으로 통보하거나 단위요구안 협의 과정을 지연하는 등, 대학원을 무시하는듯한 태도를 보였다. 물론 학교 측의 무성의한 태도로 무력해진 원총과 비대위만을 비판하기엔 민망한 상황도 많았다. 그러나 원우들의 목소리를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원총의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일 것이다. 후보자들은 대학원생들을 대표한다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학교와의 협의 과정에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단독출마의 경우 투표자 과반 찬성 시 당선’이라는 다소 느슨한 규정 때문에 원내구성원들은 ‘등록이 곧 당선’이라고 속단할지 모른다. 그러나 원총의 대표성은 원우들로부터 나오고, 이는 투표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자치기구로서의 원총은 원우들의 관심과 비판을 먹고 자란다. 다가올 제38대 대학원 총학생회 투표에 많은 원우들이 참여하여 행동으로 대학원 주체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보여줘야 할 것이다. 후보자들 역시 더 많은 원우들의 지지를 받는 원총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


 정석영 편집위원 | yaep@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