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나 / 영상학과 석사과정

[만물상자]

 ※대학원신문에서는 책, 영화, 음악, 만화 등에 대한 자유로운 형식의 글을 받습니다.
   문의: ahs1182@hanmail.net


기준이란 단어의 모호한 경계

 

이안나 / 영상학과 석사과정

 

심야영화가 끝나고 상영관을 나오면서 누군가가 처음 내뱉은 말은 “이렇게 난해하고 해괴한 영화는 처음이야”였다. <록키호러픽쳐 쇼(짐 셔먼, 1975)>의 양성애자 외계인 닥터 프랭크는 관객들에게 일반적이지 않은 존재인 것이다. 이렇게 처음 물꼬 튼 감상평을 시작으로 사람들은 하나 둘씩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고 나는 그들의 이야기에 집중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 영화에 불편한 감정을 느꼈다고 말했고 그 원인을 여장을 한 프랭크의 옷차림과 동성 간의 사랑으로 꼽았다.

 
 

그러나 100여분의 영화 러닝타임 동안 나는 이러한 장면들이 ‘해괴하다’라고 느낀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오히려 서로 다른 정체성을 갖고 있는 이들이 아무런 기준과 규범 없이 융합되어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평화로워 보였다(물론 폭력적인 행위와 자극적인 요소들이 있었지만 말이다).
상영관을 나오자마자 들려오는 아무개씨의 영화 평은 특정한 경계로 왼쪽과 오른쪽을 나누는 발상이다. 하지만 이 기준을 정한 사람은 누구이며, 그 기준 밖에 있는 사람은 꼭 예외적인 것으로 치부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이 생겼다. 흔히 예외적인 것 또한 그들의 세계에서는 중심인 것이기에 어떠한 관점에서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때문에 무엇인가를 규정짓는 기준에 따라 규범 안의 범위와 밖의 범위가 달라지므로 누가 옳고 그르다고 말하기 어려울 것이다.


프랭크의 저택 안은 이러한 이분법적인 단절이 없는 이상적인 공간이다. 영화는 외계인과 인간, 동성애와 이성애 공존의 코드로 그것들이 함께 하는 것이 해괴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나가야 할 이상적인 순간이란 걸 예로 보여준다. 그러나 영화는 저택 안만 비추지 않는다. 저택 밖 서재, 즉 현실의 시선과 교차하여 보여줌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이상의 세계에만 물들지 않게 한다. 다양성이 공존하는 공간을 간절히 바라는 것은 이상일 뿐, 실제 현실의 시선과는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영화를 접했을 때 대다수 관객들은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해괴하다’라는 말을 내뱉게 되었을 것이다.


무엇도 기준이라고 속단할 수 없는 애매모호한 세계에서 예외를 만드는 것은 무척이나 폭력적인 행위이며 이를 당연시하는 것 또한 자제해야 할 것이다. 모든 이가 나와 같은 생각을 하기란 어렵겠지만, 보이지 않는 마음의 경계선이 조금은 옅어지는 사회가 왔으면 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