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이게 하고 싶었던 말 전부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끝낼 수는 없고 왜 반대하는지를 적어야 하는데, 그런 말들이라면 지금까지 매우 많았던 데다 새로운 말을 더 보탤 자신도 없다. 그래서 이 난감한 상황을, 지금까지의 논란을 나름대로 정리하는 것으로 해결해보려 한다.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논란은 두 가지 축으로 전개된다. 첫째는 국정화 자체다. 이는 단 하나의 역사가 가능한지, 나아가 역사학의 과학성은 어떻게 획득되는지와 관련된다. 모두가 동의하는 단 하나의 역사란 존재할 수 없으며, 역사에 있어서 다양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넓게 보면 이 지점에 대해서는 찬성론자들도 동의하는 제스쳐를 취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국정화는 최선이 아닌 차선”이라는 말이 대표적이다. 이는 ‘현행 교과서의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국정화라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국정화가 나쁘다는 것은 나도 안다’ 정도로 풀 수 있다. 그는 이와 같은 논리를 통해서 반대 여론이 높은 원인이 국정화라는 ‘방법’에 있으며, 국민 대다수는 현행 교과서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는 놀라운 결론을 끌어낸다.

  그렇다면 내용이라는 두 번째 축을 보자. 김 대표는 “한 페이지도 쓰이지 않은 교과서를 친일이니 독재니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일축한다. 그러나 ‘한 페이지도 쓰이지 않은 교과서’의 내용을 왠지 알 것 같은, 그런 느낌적인 느낌은 사실 굉장히 논리적이다. 최소한 지금의 검인정 교과서가 “패배주의를 가르친다”, “대한민국은 태어나선 안 될 나라라고 쓰고 있다”면서, 어떤 부분이 그러냐는 물음에 “교과서 전체에서 그런 느낌이 난다”고 대답했던 박근혜 대통령의 느낌보다는 논리적이다. 그들에게 ‘올바른’ 역사란 곧 ‘아름다운’ 역사이기에, 쟁점은 60-70년대라는, 산업화와 민주화를 매끄럽게 배치함으로써 산업화 시기를 민주화의 준비 기간으로 미화할 거라는, 그로써 친일과 독재가 정당화될 거라는, 산업화에 배태되었던 문제가 가시화된 90년대 말은 그래서 빼는 거라는, 느낌!

  역사를 어떻게 쓰는가의 문제는, 어떠한 역사를 만들어갈 것인가의 문제로 이어진다. 김 대표와 여당, 정부는 여론을 호도하지 말고,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많은 사람이 그 형식과 내용 모두에 반대하고 있음을 바로 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