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ㅣ'대학원생'의 이름으로
대학원생의 역사

전원협, 대학원생의 정치체 혹은 비정치체

  오늘의 대학원생이 파편화되고 분절된 조건 속에 있다면, 대학원생의 처우 개선을 위한 집단행동은 불가능할까? 시도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이 글에서는 대학원생 집단행동의 시도로서 전국대학원총학생회협의회(이하 전원협)의 행보를 살피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짚고자 한다.

  2012년 10월 서강대에서 전원협 준비위원회가 출범한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전원협은, 원총 회장을 비롯한 대표자들의 모임으로 “대학원생·연구자의 권리증진과 처우개선 및 고등교육공공성 확대를 목적으로 한다”(전원협 자치규약 1장 2조). 본교를 비롯해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준비위원회 출범 당시 12개 학교에서 시작했으나 점차 함께하는 단위가 많아지고 있다.

  지금까지 전원협의 행보를 돌아보면, 대학원생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만들어내기 위한 노력이 드러난다. 2013년 1월에는 “대학원 교육의 공공성 정립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성명서 발의 기자회견”을 열었고, 2014년 2월에는 전국대학강사노동조합과 함께 “10대 요구안”을 발표했다(표1). 올해 1월에는 “대학원 등록금 인상전가 중단 및 교육비 경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으며(표2), 4월에는 “대학원생의 눈물: 고액등록금과 갑을관계의 사각지대, 대학원을 말하다” 토론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등록금 마련과 연구 활동으로 바쁜 대학원생들을 대신해 학생회가 중심이 되어 공동 의제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기자회견과 토론회 등을 개최하는 것은, 오늘날 대학원생이 처한 현실에서 실행가능한 대안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대학원생이 처한 어려움이 등록금뿐만 아니라 각종 정책에서의 소외, 교육권 침해 등 구조적 차원과 얽혀 있으므로, 대학원 총학생회 간의 연대체를 구성하여 대응하는 방식은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전원협은 대학원생의 정치체이다.

  그러나 전원협은 원총과 원생의 거리가 멀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대표성 없는 대표자’의 문제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는 조건에 놓여 있다. 그들이 침묵하는 대학원생들의 대표자라는 점이 공인될 때에만 그들의 의제가 대학원생의 의제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의 총학생회가 원생들의 무관심과 외면 속에 놓여 있다면, 전원협의 목소리는 대표자로서 동력을 잃게 된다. 참여하는 단위에 강제성이 없으며 각 대학의 이해관계에 따라 참여를 결정하는 구조라는 점, 각 학교의 회장단이 1년마다 교체되므로 장기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다는 점, 즉 연속성을 가질 수 없다는 점 또한 한계로 지적된다. 무엇보다 지난 8월 1일 전원협의 회의록에 기록된 것처럼 “전원협 자체는 대표성을 띠지 않”으며 “정치적인 색깔을 띠지는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참여하는 대표자들이 가지고 있다면, 전원협은 그저 “정보교류 네트워크”에 그친다. 이때 전원협은 비정치체이다.

  학생회를 중심으로 하는 대학원생의 집단행동이 가능한지, 그 여부는 전원협이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이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 집단행동이 불가능하다면, 대학원생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고려돼야 하겠다.

 

<표1>
<표1>

 

<표2>
<표2>

전영은 편집위원|na6730193@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