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윤식 / 전자전기공학과 석사과정

 

 오래전부터 주파수의 동작 범위를 여러 주파수로 바꾸는 방법 및 기술들은 많이 연구되어왔다. 하나의 디바이스가 1개의 주파수로만 단순하게 동작하는 것보다 여러 개의 주파수로 튜닝 됨으로써 다중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장치의 사용 범위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때문이다. 소비자(사용자)가 상황이나 목적에 맞게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게 한다고 보는 것이 이해를 도울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가변 기술에 관해 PIN DIODE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바꾸는 방법부터 VARACTOR DIODE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전압을 DIODE에 가해줄 때 해당하는 전압에 따른 주파수 값을 가지게 되는 연구, RF MEMS라는 다른 운용 분야의 기술을 접목시켜서 주파수를 가변하는 기술 등까지 오래전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위에 열거한 기존의 기술들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자면 안테나 또는 흡수체의 사이즈를 줄여서 소형화가 대세를 이루는 시장에 적합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부터, 새로운 부품으로 안테나 또는 흡수체를 구성하여 주파수를 가변하고자 하는 시도,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부품이나 시설비 등에 들어가는 비용이 높을 경우 낮아지는 효율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의 제품보다 조금이라도 값이 싼 부품을 개발하는 연구 등이 있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의 연구로 인하여 거의 포화상태라고 할 수 있는 이 분야에서 새로운 것을 찾기 매우 어렵다는 것은 필자와 더불어 지금 이 분야에서 연구를 매진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다들 공감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연구 기술과는 달리 릉간우 원우가 제안한 논문은 미세유체 채널이라는 아이디어로부터 출발하여 값이 저렴하고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새로운 재료들을 썼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구성되는 제품들의 값을 좀 더 절약하고 누구나 쉽게 채널에 미세유체를 주입함으로써 동작 주파수를 바꾼다는 접근성 및 편이성의 제공은 앞에 열거한 기술들과는 다른 특장점이다. 기존의 논문들에서 쓰이는 비싼 기판이나 동판 대신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가정용 프린터를 사용하여 값이 싸고 가벼운 종이를 재료로 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로 기판을 제작하였다.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친환경적인 기술로서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도 있는 기타 부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출력하여 제작이 가능하다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후일 안테나나 흡수체 또는 다른 분야에서 쓰이는 기판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각광받고 있다. 이 논문은 미세유체 채널과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조합을 시도함으로써 두 분야의 장점들을 잘 합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아직 종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발전단계에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안테나 혹은 흡수체 기술을 포함한 많은 전자기기들은 갈수록 작아질 것이고 플렉서블한 제품들이 관심을 받게 될 것이 분명하다. 주변에서도 흔히 기사로 접할 수 있는 굽어지는 핸드폰이나 몸에 입을 수 있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접한 사람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유연함과 탄력성을 지닌 플렉서블 특징은 큰 관심과 이슈의 중심에 있다. 종이라는 재료는 위에서 말한 유연함을 바탕으로 한 플렉서블함과 값이 싸다는 큰 장점과 더불어 어디서든 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종이는 앞으로 어떤 식으로 사용·적용되느냐에 따라 큰 가능성을 가진 재료라고 생각된다. 그렇기에 릉간우 원우의 논문은 종이를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큰 성취라고 할 만하다.
 이 분야에서 어떤 특정한 재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는 설계 단계부터 제작 단계까지 거듭되는 실패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모든 연구는 작은 시도로부터 출발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릉간우 원우의 본 논문은 비록 곧바로 어느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정도의 어플리케이션 수준은 아닐지 모르나, 이 연구에 관심을 가지는 다른 연구생들에게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이 논문의 시작은 미약하나 앞으로 그 가능성은 크게 열려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의 약점을 보완하고 계속 발전시킨다면 더 좋은 학문적인 성취를 달성할 것이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