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용 / 사진학과 석사

늦은 밤까지 불이 꺼지지 않는 대학원, 그 공간 안에서 원생들은 어떤 연구를 하고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해 고민할까? 본 기획에서는 대학원 원우들의 학위 논문을 통해 중앙대 대학원에서 어떤 연구들이 이뤄지고 있는지 소개하고, 함께 마련되는 토론을 통해 다양한 학과의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기획되었다. 이번에는 사진학과 홍성용의 작품논문을 통해서 현대사회의 몸의 의미에 대한 고민을 나눠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작품논문>

현시대의 비가시적 몸에 관한 기록

홍성용 / 사진학과 석사

ⓒ홍성용
ⓒ홍성용

  본 연구는 디지털 몽타주 <사회적 몸>에 대한 작품논문으로 시각 이미지의 영향으로 변형되어 가는 현대 사회의 몸에 관한 사진적 연구이다. 영상 기술의 발전으로 무분별하게 생산되고 왜곡된 몸 이미지는 대중에게 하나의 기준으로 다가서고 있다. 시각 이미지 중심인 현대 사회에서 신체는 타인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로서의 역할이 크다. 타인의 몸과 자신의 몸이 이미지로 생성되어 보여지는 역할이 증가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미디어를 통해 보여지는 아름다운 인간의 몸의 형태는 대중에게 하나의 절대적 기준으로 강요되고 있다. 이렇게 무의식에 뿌리내린 절대적 기준은 대중에게 그 기준에 다가설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제시하는데, 그 방법이 바로 변형 가능한 ‘도구로서의 신체’이다. 대중은 자신의 몸을 변형 가능한 도구로 생각하고, 변형을 통해 누구나 그 절대적 기준에 다가갈 수 있다는 환상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스스로 몸을 변형하는 행위의 도덕적, 윤리적 문제는 중요치 않아진다. 그보다 타인의 시선에 맞게 몸을 변형함으로써 자존감을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믿음이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믿음은 자신의 몸이 어떻게 변질되고 왜곡되어 가는지 인식하지 못한 채 타인에게 보여지는 이미지로서의 몸에만 몰두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자연스러운 변형이 아닌 외부의 강압에 의한 인위적 변형으로 서서히 변질되어 가는 현시대의 신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러한 몸의 변형은 우리가 인식할 수도, 또는 못할 수도 있고, 가시적으로 드러날 수도,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실재적이지만 비실재적인 특징의 표현을 위해 디지털 매핑 기법을 이용하여 현시대의 보이지 않는 사회적 몸의 형상을 가시화했다. 표현 형식에 있어서 얼굴보다는 몸 일부를 표현했는데, 그 이유는 얼굴에서 느낄 수 있는 개인의 주관적 관점을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객관화된 수치로 규정된 몸을 표현하여 그것의 사회적 성격을 강조했다.
  몸에 대한 아름다움을 담보로 하는 여성의 누드 이미지에 깨진 벽이나 녹슨 철판, 꿰맨 가죽 등의 이미지를 매핑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몸은 결코 미의 기준에 부합될 수 없다. 이를 통해 보는 이들에게 통속적인 누드와는 다르게 불편한 느낌을 전달하여 한 번쯤 자신의 신체에 대한 정체성을 고민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를 제공하고자 했다. 또한 검은색 배경을 통해 배경에서 느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배제하고 몸에 치장하는 작은 장식구까지 제거하여, 이것이 동시대 사람들의 일반적인 사회현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인간의 몸은 시대적으로 그리고 사회·문화적으로 항상 다르게 변화되어 왔다. 왜곡된 시각 이미지가 중심이 된 현대 사회는 왜곡된 신체 이미지가 획일화된 기준을 가지고 동일한 모습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작품 연구는 왜곡된 시각에 대해 판단 기준은 제시하지 않은 채 맹목적 수용을 강요하고 있는 현시대의 비가시적 몸에 관한 시각적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작가노트

ⓒ홍성용
ⓒ홍성용

  우리 눈에 보이는 재현된 몸은 태초에 생성되었던 자연 그대로의 몸이 아니다. 오히려 몸은 인간과 사회의 욕구를 반영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고 표현되어 왔고, 여러 이데올로기와 문화의 다양한 의미와 해석에 대한 교차점이 되어왔다. 각 시대 또는 각 사회의 요구에 따라 몸의 개념은 계속 바뀌어 왔고, 그에 따라 몸 자체도 우리가 수용, 또는 불수용하는 것에 관계없이 가공되고 변모해 왔다.
어쩌면 그 옛날부터 자연적인 몸이 그대로 보이고, 해석된 적은 없는지도 모른다. 타의든 자의든 우리 몸의 가공과 조작은 이미 자연스러운 일이 되어버렸다.
  몸의 교정, 수정, 절개, 변형 등은 이제 우리에게 사회적 현상으로 다가오고 있고, 이런 사회적 현상은 몸을 단지 자연스러운 생성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요구하는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시대의 요구에 따라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가공된 인위적인 몸의 재현. 이것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가 안고 가야 하는 몸의 현상학이 아닐까 생각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