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본교 철학과 학생 김창인씨가 자퇴를 선언했다. 학교 건물 곳곳에는 “나는 오늘 대학을 그만 둔다. 정의가 없는 대학은 대학이 아니다”라는 요지의 대자보가 붙었다. 본교에서 학부 과정을 수료한 원생들은 김창인씨가 누구인지 알고 있었다. 그는 08년에 문과대 철학과에 입학했으며, 10년에는 대학의 기업화에 반대한다며 한강대교에서 고공시위를 벌이다가 무기정학을 받았다. 11년 하반기에 다시 대학 구조조정 문제가 불거지자 총여학생회와 철학과를 중심으로 200인 원탁회의가 기획됐고, 이를 둘러싼 논쟁의 중심에도 그가 있었다. 이는 대학본부의 구조조정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그러나 이 행사는 정치적 목적이 짙고, 수업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들었으며 김창인씨는 상벌위원회로 소집돼 징계를 받았다. 그는 작년 말에 서울캠 인문대 학생회장 선거에 출마했다. 그러나 인문사회계열(계열)이 학점 미달과 징계 전력을 이유로 출마자격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다시 논란이 있었다. 애초에 선관위가 그의 전력을 알면서도 학생회장 후보로 승인했지만 선거는 지난해 11월부터 총 3번이나 미뤄졌다.

  이번 자퇴 선언 이후, 학내 커뮤니티 중앙인에는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 “끝까지 특정 정당에 힘입어서 정치적 쇼를 벌인다”, “운동권이 바라는 진정한 학교의 모습이 무엇이냐?”, 라는 요지의 댓글들이 올라왔다. 지난 11일, 중대신문의 이시범 기자는 자신의 칼럼(“영화관에서 나와 달라”)에서 김창인씨를 우상화하거나, 비꼬고 격하하지 말 것을 촉구하며 “사람과 그 사람이 던진 메시지를 구분하지 못해 그저 영웅으로만 남아있는 사례는 고려대 김예슬 학생 자퇴 선언만으로 족하다. … 사람이 미래인 것이 아니라 그의 생각이 미래다. … 그가 던진 메시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썼다. 그런데 정말로 메시지에 대한 고찰만이 필요한 것일까? 본지는 타 대학에서 본교 대학원에 진학한 원생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원생 E씨는 “수요에 의해 이뤄진 대학의 시장성이 이제 다시 필요에 의해 축소돼야 한다”고 지적한 뒤 “통폐합이 학생들에게 주는 상처가 얼마나 클지는 고려되지 않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녀는 “김창인이라는 사람에 대해서는 이번 대자보를 통해 처음 알았다. 그는 자신이 의견을 피력해왔던 공간을 잃었다. 마음이 아프다”고 답했다.

  이번 김창인씨의 자퇴 선언이 학생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실상 특별한 것이 아니다. 그 상징성 역시 곧 망각될 것이며, 필요에 따라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들이 많은 대학원에서는 망각의 속도가 더 빠를 것이다. 그의 행동을 합리성을 따져가며 판단하고, 메시지로 환원하는 것은 손쉽고 간단한 일이다. 그러나 그가 본교에서 겪었던 일들은 결코 몇 가지 슬로건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미 그의 행보는 사건이기에 앞서 시간이기 때문이다. 테리 이글턴은 “주변이란 장소는 그곳에 있기가 말할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러운 곳”이라며 “학생들의 입장에서 보면 버림받고 무시당한 자들이 입을 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만큼 존경받을 만한 과제도 별로 없다”고 썼다. 이는 이제 본교 원생들의 과제이기도 하다. 사람과 메시지를 구분한다면 그 과제는 결코 수행되지 못할 것이다.

김승일 편집위원 | seed1212@naver.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