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늘 / 서강대 대학원신문 편집장

  
  신문을 만드는 사람의 입장에서 가장 바라는 점은 우리가 만드는 신문이 ‘시간 죽이기’용이 아닌 다음 호가 궁금한 신문이 되는 것이다. 또 독자의 입장에서는 신문을 통해 기억에 남는 무언가를 얻는다면 그 때는 신문이 제 역할을 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자신의 연구 시간도 벅찬 대학원 기간 동안 신문을 만드는 일은 열정이 따르지 않으면 하기 힘든 일일 것이다. 

  금년 하반기에는 기획기사가 주목할 만했다. 한 학기동안 꾸준히 ‘신자유주의’라는 하나의 주제로 그렇게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획력에 놀랐고, 그 중에서도 1면의 <포커스>는 학내 이슈를 신자유주의란 주제에 연결해, 그것이 결코 우리의 삶과 무관한 것이 아님을 상기시켰다는 점에서 인상 깊었다. 그리고 신자유주의라는 키워드를 각 기획으로 확장시켜 다룬 점은 신문 읽기의 묘미와 기대를 갖게 해줘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 대부분의 대학원신문이 인문학, 철학, 예술 분야에 국한된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면 <대학원신문>은 <과학>, <IT> 같은 주제까지 다루고 있고, 또 두 번째 기획부터 <국제>면까지 추가 구성한 것은 많은 고민의 흔적이라 예상된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적은 공간에 많은 이야기를 다루려다보니 주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좀 더 깊이 있는 논의를 하기 보다는 주제와 관련한 이슈를 소개하는 정도에 그친 점이다. <대학원신문>은 분명 신문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자주 발행되지 않는 만큼 일반 신문처럼 단순히 정보의 시의성에 가치를 두기는 힘들다. 차라리 하나의 주제를 오랜 시간 깊게 고찰해 볼 수 있는 지식의 매개로서 ‘신문’보다는 ‘대학원’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너무 전문적인 지식에만 몰두하는 것도 지양해야 할 것이다.

  대학원이라는 공간에서 생산되는 이슈들과 전문적인 지식이 어우러진 지면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그것이 가장 이상적이란 생각이다. 또한 눈길을 끌었던 것은 원우들의 연구 동향을 실은 <원우연구> 꼭지였다. 많은 지면을 할애하지 않았음에도 중앙대 대학원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원우연구를 학내 신문이 다룬다는 것은 그만큼 전 계열의 원우들에게 신뢰와 지지를 보낸다는 의미로 생각된다.

  전반적으로 <대학원신문>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탄탄한 구성이 돋보이는 신문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앞으로도 계속 고민의 흔적과 기대감으로 가득한 신문, 타 대학원 신문이 배울 점 많은 신문을 만들어 주시길 바란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