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교 인권센터는 지난 9월 대학원 총학생회와 함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인권침해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는 대학원생들의 인권침해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대안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조사 결과 원우들의 관심이나 반응이 비교적 학습권 쪽에 치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원 공동체 특성이 반영된 결과다. 지난해 실시된 학부생 인권실태조사에서는 음주 강요의 비율이 21.5%였던 것과는 달리 대학원생의 경우 1.5%에 그쳤고, 폭력이나 폭언의 피해도 학부생(24.3%)보다 원생(16%) 쪽이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물론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인원 수나 특수성을 따져보았을 때, 단순 비교는 큰 실효성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학업과 연구에 필수적으로 전제돼야 하는 연구공간의 부족에 어려움을 겪었다’라는 항목에 상당수 원우들(61.2%)이 응답한 것을 보면 원내 학습권, 교육권 침해가 다른 사항에 비해 더 민감히 체감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교 인권센터 성정숙 연구원은 대두되는 공간문제에 대해 “성과위주의 학내 분위기와 상충되는 연구 환경의 부족은 단순히 공간 문제만을 지시하지 않는다”며 “대학원생은 연구에 자신의 하루를 모조리 투여하는 만큼 그들이 휴식할 수 있는 공간, 안정감 확보 공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밖에 등록금 부담, 커리큘럼의 협소함, 도서관 자료의 부실함과 같은 고질적인 불만 이외에도 노동권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연구실 프로젝트의 경우 교수·선배와의 공동 작업으로 인한 기여도 인정이나 정보접근권 침해를 들 수 있는데, 이는 권력관계가 촘촘한 LAB중심의 자연공학계열, 의약학계열에서 두드러지는 문제다. 특히 이 두 계열에서는 보호 장비의 부족으로 인한 생명권 침해가 제기돼 관심을 요하고 있다. 반면 평등·자유권의 경우 다른 인권 사항에 비해 응답 학생들의 비율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성 연구원은 “이를 평등·자유권에 대한 학생들의 민감도 부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인권 문제는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느껴진다. 따라서 대학 인권문제는 문제 해결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한 인권의식 확대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