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6일 한 언론이 ‘채동욱 검찰총장 혼외아들 숨겼다’란 제목으로 신문기사를 빙자한 소설을 발표했다. 이를 소설이라 말한 이유는 어떤 객관적 근거도 없이 혼외아들을 기정사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냥 소설이라고만 하기엔 확신에 찬 기사의 어조가 미심쩍어 보인다. 그래서인지 세간에선 본 사건의 진위여부 뿐만 아니라 해당 언론사가 이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얻었는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엎질러진 물이니만큼 이 사건의 진위 여부를 밝히라는 압박은 거세졌다. 결국 지난달 25일 채 총장은 해당언론을 대상으로 정정보도 청구소송을 냈고 다음날 몇몇 시민단체가 정보제공 의혹을 받고 있는 인물들을 고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사건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나오지 않자 사람들은 극단적 입장으로 나뉘고 있다. 심지어 어떤 언론에선 최초 보도를 행한 언론사 사주의 혼외자녀를 들먹이는 웃지 못할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사건은 단순한 스캔들이 아니라 검찰의 독립성이나 국정원 선거조작등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그 파장이 매우 크다. 하지만 이 지지부진함이 해결되기까지는 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듯하다. 

  사실 진위여부만을 밝히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DNA 검사라는 손쉬운 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손쉬운 방법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누구도 밝혀내지 못했다. 추측성기사만 난무하며 주변적인 정보들만 계속 확장되고 있을 따름이다. 뭔가 그럴 수밖에 없는 사정이 있으리란 가정하에 각자 자신들의 유불리를 따지며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를 써볼 뿐이다.

  결국 문제는 이로부터 발생한다. 계속 확장되는 시나리오는 최초의 소설에 대한 일종의 동인지 효과를 낳기 때문이다. 이는 그 사실여부보다 ‘채동욱 검찰총장의 혼외자녀’ 같은 제목이 주는 자극과 그 파장에 더 큰 목적을 두는 것이다. 또한 DNA 검사 같은 사실 확인의 명백한 방법이 실시된다 하더라도 이를 재반박하는 무수한 억측 논리들은 얼마든지 재생산될 수 있다. 이는 결국 다른 버전의 동인지에 다름 아닐 것이다. 이미 일베의 ‘광주사태’를 통해 우리는 이러한 사례들을 목도한 바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실 여부 확인’이란 커튼을 걷어내고 ‘소설 집필과 동인지 제작’ 사이에 놓인 진짜 목적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