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성 / <이매진> 편집위원

 
 

  현재 대학은 대학 발전 이데올로기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우리가 지난 몇 년간 본교에서 보아왔던 그 변화의 방향은 명백히도 신자유주의의 논리에 가장 잘 순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학부와 대학원 가릴 것 없이 돈이 되지 않거나, 취업률 등 실용적 지표들을 만족하지 못하면 사라져버리는 것이 현 대학 변화의 방향이다. <대학원신문> 300호 ‘포커스’에서 잘 지적하고 있듯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학내언론 역시 대학발전의 하위 파트너로 기능해야 한다는 요구로부터 벗어나기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비판적인 논조와 인문학적 논의가 주가 되는 <대학원신문> 또한 편집 방향에 있어 큰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시기일 것이다.

  다행히 아직도 <대학원신문>은 이러한 대학 발전 이데올로기에 조응하기보다는 대학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관점을 잘 유지하고 있다. 이는 300호에서 학내 구조조정의 문제를 다룬 ‘변화와 개혁이 남긴 것’ 기사나, 신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가장 분할되어 관리되는 노동을 다룬 ‘노동의 경계넘기’ 기획면에서 잘 나타났다.

  다만 편집 방향에서 세밀한 일관성이 드러나지 못하는 부분은 진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노동의 경계넘기’ 기획은 이러한 일관성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신자유주의의 원리 속에서 노동이 정규직/비정규직, 세대, 젠더 등 다양한 분할선으로 분할되고 이로 인해 단절되는 것을 짚으려는 ‘의도’는 보이지만 각 호의 기고들이 이러한 분할에 대한 분석을 넘어서려는 시도는 잘 보이지 않는다. 분할선을 ‘극복’하려는 관점과 전망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비록 기고가 중심이기에 일관성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점은 이해하나 기획면이라면 <대학원신문>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조금 더 명확히 드러나야 할 것이다. <대학원신문>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단순히 ‘비판적 관점’의 제공을 넘어서는 것이라면 <대학원신문> 내부에서 기획의도에 대한 심도있는 합의를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대학언론이 뚜벅뚜벅 자신의 길을 걷기가 쉽지 않은 시기이다. 이럴 때일수록 스스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그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을 때 <대학원신문>이 대학 언론의 기능, ‘자기통치-변혁의 담론형성’에 더 잘 복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