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이 본교를 인수한지 5년이 지난 현재, ‘중앙대 이름 빼고 다 바꾸겠다’는 변화와 개혁의 구호는 ‘상시적 구조조정’이라는 이름으로 현실화됐다. 이번 구조조정은 지난 2010년 당시 구조조정을 통해 학부 내 전공으로 편입됐던 4개 전공(아시아문화학부 비교민속학전공, 사회복지학부 아동복지·청소년·가족복지전공)의 폐지로 드러났다. 이는 사전에 학과차원의 논의과정이나 학생·교수들의  의견수렴 없이 <중대신문>(4월 13일자)의 인문사회계열 부총장 인터뷰 기사를 통해 가시화됐다. 

  이에 해당 전공자들은 구조조정 반대의사를 표명하며 타 학문단위 및 학내언론(녹지·중앙문화)과 연대해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구성하고 본교 측과의 대화를 타진해왔다. 그러나 김호섭 인문사회계열 부총장(정치국제학과)은 학생대표와의 면담과정에서 “후퇴는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지난 2일 법학관 대강당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인문사회계열 학문단위 구조조정 공청회가 무산됐다. 이와 관련해 부총장은 중앙인에 “학생들의 출입구 봉쇄로 공청회가 무산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학생 측의 거부와 농성으로 비춰진 공청회는 대화와 소통을 위한 진정한 통로였을까. 해당 학과의 한 학우는 “계획단계부터 학생과 교수의 참여가 배제된 공청회는 구조조정 강행을 위한 설명회에 지나지 않았다”며 본교의 행태를 비판했다.   

  학문단위 구조조정의 본교 측 근거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학문단위별 경쟁력 강화 및 우수교원 확보다. 이는 대학평가를 위한 학문단위별 순위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교육과학기술부의 대학 재정지원사업과 관련돼 있다. 정부와 교육부의 대학 평가방식이 ▲졸업생 취업률 ▲재학생 충원율 ▲연구실적 등 정량적으로 평가되면서 평가기준에 충족하지 못하는 학과들을 ‘가지치기’한 것이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전국 대학의 학문단위 통폐합 또한 이에 따른 결과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학문 단위 재배치다. 부총장은 공청회 자료를 통해 지난 2년 간의 학과 유/출입 인원을 공개하며 학문단위 재조정의 배경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아동복지전공 한웅규 학생회장(3학년)은 “학부로 통폐합된 후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과목들이 해당학과에서는 열리지 않는다”며 지난 구조조정 이후 재편된 학부제의 구조적 문제를 제기했다. 따라서 현 지표상으로 보여주고 있는 유/출입 인원을 단순히 개인의 ‘선택’으로 환원하기 보다는 제도의 산물로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시적 구조조정은 비단 해당 학과만의 문제가 아니다. 수강인원이나 논문 및 연구비 수주액과 같은 양적 평가지표를 통해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면, 대학원 또한 학과 존폐위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이를 해당 학과만의 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대학의 기업화’라는 큰 맥락 속에서 바라보고, 연대를 통해 주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신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학문의 다양성과 가치를 존중해야 할 대학이 발전을 명목으로 소수의 학문을 희생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얻어낸 학교의 ‘발전’ 또는 ‘경쟁력 강화’의 결과가 학생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외부평가순위의 지속적 상승에도 불구하고 추락하는 만족도 평가 결과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공대위와의 협의가 난항을 겪고 있는 현재, 본부는 이제라도 학생·교수·본부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대화를 타진하고 일방적 구조조정 과정에서 누구도 피해를 받는 일이 없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