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코너는 거침없는 비판을 위해 익명 투고도 받습니다. 채택된 원고는 소정의 고료가 지급됩니다. 투고: caugspress@gmail.com


  대학교육의 자본화, 상업화 반대라는 대의 속에 배제된 자들이 있으니 바로 조교들이다. 등록금 투쟁, 교육환경 개선 등 굵직한 학내 문제에서 이들의 열악한 여건은 고려되고 있는가? 지금 열악한 조교의 상황은 비단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무관심한 학교규정의 문제다.

  우선, 임용부터가 문제다. 예컨대 업무량이 많기로 유명한 비인기 부서는 타 부서로 들어온 이력서를 넘겨받기도 한다. 이력서라는 개인정보를 사전 동의 없이 넘기고 있음에도 임용을 기다리는 예비 조교(?)들의 입장에서는 함부로 문제 제기를 하지 못한다.

  또한 임용 이후 조교들은 대부분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도, 보지도 못한다. 구두상으로 주당 30시간 근무라는 조건만 확인할 뿐. 실제로 모 부서에서는 35시간으로 근무시간이 변경돼 조교들이 5시간을 더 근무했지만, 나중에 교육조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규정임이 확인됐다. 초과 근무 수당이나 향후 근무 시간 단축에 관해서도 언급이 없었다고 한다.

  게다가 권한이 없는 조교에게 교내 행정전산망의 교직원 계정을 이용해 업무를 처리하도록 지시하기도 한다. 이 때문에 교직원과 조교를 대상으로 무분별한 개인정보 열람을 금지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교육을 실시하기도 했으나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는 교육조교의 업무량과도 무관하지 않다. 교직원의 업무를 조교가 대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등록금 면제의 측면에서 조교들 간의 임금 격차 문제가 존재한다. 등록금이 낮은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시급으로 환산하면 5천 원이 조금 넘지만 자연공학, 예체능계열의 경우 이보다 훨씬 높은 시급을 받게 된다. 전공 계열별로 다른 등록금 때문에 동일한 노동을 하고도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학생과 교직원의 사이에 놓인 조교라는 신분은 제 목소리를 내기 힘들다. 학교 당국을 상대로 한 문제 제기는 보수적인 교내 행정 분위기상 거의 용인되지 않는다. 게다가 등록금 면제라는 시혜적인 시선이 지배적이기에, 6개월 단위로 임용되는 조교에게 한 학기 연장근무를 강제하는 일마저 발생한다.

  마침 얼마 전 대학원총학생회(이하 원총) 게시판에 조교 여건 개선을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고, 원총은 학교 측과 전국대학원총학생회협의회에 문제 제기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행정적 절차 이외에 총학에서도 교육, 연구, 행정조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별도의 조직을 구성하고 직접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필자의 의견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