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위원 총선거를 앞두고 그 ‘소중한 한 표’에 사활을 거는 후보자들의 선거운동이 한창이다. 현 정권 들어 눈에 띄는 변화는 2-30대 유권자와 정치참여자들에 주목하며 ‘2030의 정치’라는 말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뒤늦은 관심인지 실제 변화인지 모르겠지만 선거판이 이렇게 젊은 세대와의 ‘소통’을 강조하며 동분서주하는 것은 자못 새롭다. ‘한나라당’은 14년 3개월 동안 유지했던 당명 및 엠블렘, 상징색을 전면 교체하며 ‘새 얼굴’을 보여주고자 했다. 게다가 문재인 후보의 대항마로 ‘20대 여성’인 손수조 후보에게 공천을 줬다. 한국의 상황에선 지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집권 여당의 전략이 ‘쇄신’이라면 주요 야당들의 뜻은 ‘통합’으로 이어졌다. 그간 수없이 결렬되던 정당 간 연합이 비교적 빠르게 실행됐다. 나아가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전략적 요충지역에 야권 단일 후보를 배치했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여야 모두 일련의 선거 부정, 기만적 공약까지 가세했지만 무엇보다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것은 관악을 선거구의 기호 2번이었던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가 여론 조사 조작에 따른 비난에 부딪혀 후보에서 사퇴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정치적 행보를 포기할 수 없다고 한다. 바로 ‘현 정권 심판’이란 과업 때문이다.

그런데 양 진영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 있다. ‘경제민주화’ 혹은 ‘복지’이다. 이 언술을 통해 실제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친서민적 시장경제를 말하는 것일까? 정치를 통해 여러 가지를 실현시키길 원하는, 즉 삶 정치를 희구하는 우리들에게 ‘경제민주화’라는 쟁점은 내용을 추측하기도 어려울 만큼 거대하게 느껴질뿐더러 이것이 단지 MB를 심판하는 것만으로 들어설 수 있는 길인지 의문스럽기만 하다.

현 정치에서 12월 대선을 초미의 쟁점으로 간주한다는 전제하에 이 모든 분주함이 설명가능하다. 그들이 그토록 심판하고 싶어 하는 MB는 대선 출마 당시 ‘경제 성장’이라는 공약을 내세우면서 그 선택과 배제의 대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귀띔도, 뚜렷한 전략도 없었다. 때문에 MB정권에 의해 현재의 위기와 어려움이 초래됐다는 주장은 초점에 어긋났다. 모두 알다시피 전 세계적 경제 위기는 단지 한 사람, 한 국가의 차원에서 논의될 수 없는 문제다. 비상식적인 발전 이데올로기 속에서 뭇매를 맞고 나가떨어진 수많은 ‘시민’들이 존재하는 이상, 현 정권이 바뀌면 모든 것이 바뀔 것처럼 선전성 공약으로 표를 바라기 보다는 진짜 정치에 대한 고민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