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하반기에도 구조조정 문제로 학내가 들썩였다. 지난 8월 18일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의 승인으로 본·분교 통합이 확정됐다. 우선 안성캠퍼스의 경영경제계열이 서울캠퍼스로 통합되고 사범대 가정교육과가 폐과됐다. 2012년부터 신입생을 받지 않아 2014년 졸업생을 끝으로 과가 없어지는 것이다. 일련의 구조조정은 2008년 시작된 ‘대학 개혁’의 연장선에 있다. 1차 구조조정이 전체 학문단위 통·폐합이었다면,  2차 구조조정은 사실상 안성캠퍼스의 규모를 서서히 줄여 서울캠퍼스로 통합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멀티캠퍼스 설립의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본지 255호 참조) 본·분교 불도저식 통합으로 인해 서울캠퍼스에는 전반적으로 강의실이 모자라고, 안성캠퍼스에서는 학교로부터 배제되고 있다는 불안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 실정이다.

                                                    본부의 일방적 행보

  더불어 일방적 구조조정을 반대하는 목소리에 대한 학교 측의 대응이 심상치 않다. 먼저, 본부에 반대 목소리를 내는 의견 수렴 기구를 옥죄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교수협의회(이하 교협)는 1987년에 창립된 교수들의 대표기구로서 교수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학교 당국에 전달하는 유일한 대의제 대표기구이다. 그런데 본부는 지난 하계 방학 중 두 차례에 걸쳐 교협 회비 수납 업무를 더 이상 지속해 줄 수 없으며, 이를 지속하기를 원한다면 희망하는 교수들의 서명을 모두 받아와야 한다는 공문을 보내왔다. 교협은 대의원회의를 통해 회비를 급여에서 원천징수하고 이를 학교 본부 측이 대행하도록 의뢰하는 현행 납부 방식을 고수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본부 측에 전달했지만, 결국 9월부터 회비 지급이 중단됐다. 이에 김누리 회장(독어독문학과 교수)은 “군사독재시대에는 군화발로 사람들을 탄압했지만 지금은 돈으로 사람들을 옥죄고 있다”며 “본부의 치졸함에 어처구니가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학교 당국이 교협의 정당성을 의심하며 교수들의 동의를 요구하는 방식은 교협의 영향력을 축소시킬 공산이 크다. 회비 대납 중지로 운영이 어려워지면 활동 중단은 불가피하다. 최근 교협은 학교 당국의 일방적인 가정학과의 폐지 통보에 대해 학교의 책임을 묻는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으며, 이전에도 교수와 학생의 인권을 보호하는 일에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다.

  학생들의 징계나 처벌 또한 이전보다 훨씬 강경하고 차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는 지난 10월 17일에 총여학생회와 철학과를 중심으로 기획된 ‘200인 원탁회의’와 이를 둘러싼 논쟁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0인 원탁회의’는 대학본부의 구조조정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기획된 자리였다. 그러나 학교 당국에서 강의실 대여를 불허하는 등의 이유로 정문의 잔디 광장에서 행사를 추진했다. 이에 교직원들의 저지와 일부 학생들의 피켓 시위로 토론회는 성사되지 못한 채, ‘정치적 목적이 짙은 행사였다’, ‘수업권을 침해하는 행사였다’ 등의 오해만 불거졌다. 현재 김창인 씨(철학과), 안성원 씨(철학과), 백시진 씨(사회복지학과)가 상벌위원회로 소집돼 징계 여부를 기다리고 있다. 김누리 교수는 “가장 자유롭고 민주적이어야 할 대학이 비민주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부끄럽다”며 “징계를 내리는 것은 말도 안 된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대학원 내에선 이 문제에 별 관심을 두지 않는 분위기다. 전학진 씨(마케팅학과 석사과정)는 “경영경제로 계열 대표를 뽑은 것 외에 체감하는 문제는 없다”며 “학부와는 분리가 돼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일련의 구조조정에 대해 대학원은 침묵해 왔다(본지 268호 참조). 그러나 향후 대학원의 미래를 마냥 낙관 할 수 없을 정도로 구조조정은 세밀하게 이뤄지고 있다. 단순히 수업권 보장 이상의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민지 편집위원 | amber.jeon@gmail.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