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더 이상 대학원 내 외국인 학생들의 대화 소리가 낯설지 않다. 이는 비단 중앙대만의 변화는 아닐 것이다. 전국 대학교의 유학생 수를 보면 2003년 만2천 명을 상회했던 것이 현재는 8만3천여 명으로 늘어, 2011년에는 9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출처: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4월 통계 기준). 본교 대학원의 경우 2011년 현재 387명의 유학생이 석·박사과정에 있다. 2008년, 유학생 수가 182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수적으로 크게 늘었다. 각 계열별로 살펴보면 인문사회계열 242명, 자연과학계열 57명, 공학계열 35명, 의학계열 10명으로 나타난다. 이 중 중국인 유학생은 339명으로 89%에 달한다.

  유학생의 증가는 국가 정책과 연결시켜 볼 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한 ‘Study Korea Project’가 그것이다. 장기적으로 무역 외 수지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 대통령령으로 수립하고 2005년에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한 국가 주도의 계획안이다. 수적으로는 2012년까지 10만 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대학들은 글로벌화라는 명목 하에 유학생 유치에 힘쓰고 있다. 현재까지 대학·정부의 유학생 유치 노력과 미국·유럽 지역에 비해 저렴한 유학비용, 한류 등의 영향으로 꾸준히 유학생의 수가 증가해왔다. 그러나 양적인 경쟁구도 하에서 최근의 변화가 진정 글로벌화인지 의심하는 시선이 적지 않다.

                                            유학생 증가, 문제는 없는가

  본교가 전폭적으로 유학생 유치에 힘쓰는 것은 장학제도에서 드러난다. 장학금 시스템을 보면 인문사회·예체능 계열은 매학기 50%를 감면받고 자연과학·의학·공학의 경우 1,2차에는 100%, 3,4차에는 50%의 감면혜택을 받는다. 타 대학의 경우 기본적으로 입학금에 한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기도 해, 장학금이 유학생 유치에 적지 않게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본교의 인지도도 중요 요인이다. 곽효정 씨(문화연구학과 석사과정)는 “중국에선 중앙대 예술대학, 신문방송학과, 문예창작학과의 평이 좋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양적인 증가가 학교의 국제화지수를 높이는 데 이점을 제공한 것은 맞지만, 반면 유학생들의 한국어능력이 문제시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지원 조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원 조건에 문헌정보학과, 철학과, 광고홍보학과를 제외한 모든 학과는 영어능력(IBT-Internet Based TOEFL 80점)과 한국어(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둘 중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지원이 가능하다고 명시돼 있다. 한국어의 경우 과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보통 중급에 해당하는 TOPIK 4급이 기준이다. 대부분 본국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고 오거나 어학당에서 언어교육을 거치지만 대학원 과정에 들어오면 어려움이 생긴다. 추민 씨(국어국문학과 석사수료)는 “전공 수업을 어려워하는 친구들이 많다”며 “어학당에서 기본적인 단어, 문법을 배우지만 대학원 과정에서는 심화된 언어를 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대학원이기 때문에 교수님들이 개념들을 꼼꼼하게 알려주지 않는다”며 “각 과마다 전공과 관련된 단어나 기본 지식들을 익힐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각 학과별로 자발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원 조건이 TOPIK 1급 혹은 IBT 60점 이상인 약학대학의 경우에는 타 학교 어학당을 1년 동안 따로 수강하게 하거나, 방송사 주최의 한국어 시험을 준비시킨다.

  여기에 학습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것도 우려사항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A교수는 “간혹 학교 측에서 한두 명의 외국인 학생들 때문에 영어 강의를 요구하기도 한다”며 “이는 수업의 질을 떨어뜨려 한국인 학생이 불만을 표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물론 이는 과마다 편차를 보인다. 염선규 신문방송학과 대표(석사과정)는 “석사 과정에 7명이 재학 중인데 대부분 한국말을 무척 잘해 수업이 진행되는 데 어려움은 없다”고 밝혔다.

                                               대학원 내 지원 필요


  복지문제도 보완돼야 한다. 본교의 경우, 현재 유학생 담당 업무를 맡고 있는 국제교류팀에서 유학생 센터를 따로 두어 장학금, 한국어 교육, 비자 관련 문제와 문화 탐방 등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복지 측면에서는 현실적으로 지원책을 마련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다. 국제교류팀의 신중범 계장은 “복지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모호하다”며 “불법체류자도 간혹 발생하는데다가, 학업을 도와주거나 지원하기에는 개인의 차이가 크고 자체 인력이 모자라 어려운 문제”라고 밝혔다. 유학생 센터에서 11명의 간사를 두어 유학생들의 고충을 듣고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으나, 이 또한 대학생 위주의 사업이다. 대학원생만을 위한 복지가 마련돼 있지 않다보니 대학원총학생회(이하 원총)에서 이 문제를 담당하고 있다. 예로 제32대 원총은 2010년 10월부터 2011년 2월 동안 국제교류국을 두어 공청회 실시, 한국어 세미나 진행, 제주도 문화 기행 등을 통해 유학생의 고충에 대해 소통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상황에 따라 변화가 잦다. 황지영 비상대책위원장(유아교육과 석사 수료)은 “유학생에 대한 지원은 설립되는 회장단의 역량에 의해서 결정된다”며 “비대위 체제에서는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전국 대학의 유학생은 2012년, 10만 명에 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양적인 목표달성이 교육의 글로벌화로 이어질 수 있을까? 재학생의 10분의 1에 달하는 유학생과 함께 연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한국으로 공부를 하기 위해 온 외국인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학업의 동기를 부여하려는 노력도 포함돼야 할 것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학문적 교류를 꾀하기 위해서는 유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제도가 안정적으로 마련돼야 한다. 더불어 그들이 원하는 도움이 무엇인지를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가 자치적으로 마련돼야 할 것이다.

                                                                         전민지 편집위원 | amber.jeon@gmail.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