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제 17회 한·일 국제심포지엄

  지난 9월 17일 토요일, 한국 언론 학회, 일본 매스커뮤니케이션 학회가 주최한 ‘2011년 제 17회 한·일 국제심포지엄’이 법학관 2층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번 주제는 <한·일 양국의 재난보도 시스템의 문제와 발전방향>으로, 지난 3월 일본 동북지역에서 발생한 대지진·방사능 누출사건 당시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언론과 시민들이 보여줬던 조속하고도 차분한 대처가 세계 언론의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이번 포럼은 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관찰된 한·일 재난 보도 시스템의 현황과 개선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제1세션에서 백선기 교수(성균관대)는 <한국 언론의 재난 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신문의 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지난 3월 일본 대지진 발생 후 한국 신문들이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로 재난을 다룬 것에 대해 언론의 역할을 다시 묻고, 재난 발생 시 지양해야 할 보도 태도에 대해 국내 4개 주요 신문사의 보도를 분석함으로써 고찰하고자 했다. 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재난 보도에 대한 준칙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보도언어의 사실성 보장과 제공정보의 범위가 예방과 복구상황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 사고 원인 등의 중요 정보는 재난 대책 공식기구의 검증을 거치도록 할 것, 불필요한 인터뷰 자제, 사진 정보의 객관성 등 총 여덟 가지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제2세션에서 야마다 켄타 교수(센슈대학)는 <일본 재해보도 시스템의 검증: 신문방송, 인터넷, 휴대전화 등의 실태> 발표를 통해 일본의 재해보도 시스템을 돌이켜보고 일본의 미디어 상황, 재해보도 법 제도의 틀, 동일본 대재해의 사례를 보고했다. 일본의 경우,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와 같은 방송영역은 방송법, 전파법에 의해 규제된다. 하지만 ‘소셜미디어 혁명’이 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것에 주목하며 앞으로 일본 미디어 역시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했다. 야마다 교수는 “크게 전통 미디어를 중심으로 하는 저널리즘 실태의 문제와 신흥 미디어의 새로운 역할, 그 가운데서 일어난 정보통제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며 “재난으로 인한 위기상황에서도 정보가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행정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재해보도의 지역비교>와 <한국에 있어서 재난방송시스템과 문제점에 대한 논의: 공영방송, 스마트폰, 인터넷, DMB등을 중심으로>등의 발제가 있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언론계 실무자들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NHK의 이토 료지 서울지국장은 <NHK의 재난 방송의 향후 과제>를 통해 “TV의 사명은 재해 피해의 예방과 최소화가 우선”임을 강조하며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보도 내용 정도의 차등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KBS의 김대희 보도주간은 “KBS의 경우, 2003년 만든 재난 재해 방송 매뉴얼을 기준으로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지만 질적으로 많이 부족하다”며 “재난방송의 바람직한 방향을 학계에서 제시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전민지 편집위원 | amber.jeon@gmail.com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