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코너는 거침없는 비판을 위해 익명 투고도 받습니다. 투고: caugspress@gmail.com

2009년 8월, 대학원에 전대미문(!)의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흡사 시사프로그램의 제목 같은 ‘전산실 수익금 9백만 원 증발사건’이다. 29대 총학생회통장에는 전산실 장학금 명목으로 지급받은 1천만 원이 넘는 수익금 중 고작 2백여만 원이 남아 있었다. 결국 원우들의 서명을 받아 임시감사가 시행됐다. 감사 결과, 29대 대학원 부총학생회장의 업무상 횡령 행위가 드러났다. 9백만 원은 몇몇 개인의 통장을 거쳐 당사자의 개인통장에 5개월간 보관되었고, 노트북 등 기자재 구입과 집행국 인건비, 사업비용(태안반도 봉사)으로 전용되었다. 필자의 기억에, 당시 이 사건의 관계자들은 비록 그 돈을 ‘전산실 장학금’이라는 명목으로 쓰지는 못했지만, 학생회 사업의 명목 아래 원우들을 위해 쓴 것이라고 항변했다. 법적 용어로써의 ‘횡령’이 단순히 타인의 재물을 탈취하거나 개인의 이득을 위해 전용 내지 유용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차치하고서라도, 명백한 ‘수익금 증발’이라는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는 변명이 아닐 수 없었다. 그 변명의 근거가 본인이 스스로 훼손한 학생회 자치권이었다는 것 역시 아이러니한 일이다.

이 사건은 ‘사라진 9백만 원’이라는 말이 띠고 있는 일종의 선정성과 더불어 아직까지 공공연하게 회자되고 있다. 지금, 2011년 새 학기가 시작되려는 시점에 왜 과거의 불미스러운 사건을 환기하는가. 매년 집행되는 막대한 학생회 예산이 얼마나 투명하게 쓰이고 있는지 일반 원우들은 지금도 잘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대학원의 예산 규모는 일반 원우들이 쉽게 짐작할 수 없을 만큼 막대하고, 구조 또한 복잡하다. 예산을 관리하는 주체들이 정신을 바짝 차리지 않으면 언제 ‘횡령’될지 모르는 게 그것이다. 당시 29대 총학생회 정기 감사에서는 이 사실이 드러나지 않았다. 정기 감사의 허술함이 임시감사를 통해 드러났을 당시 일반 원우들의 불신은 어마어마했다.

대학원 감사시스템이 갖고 있는 구조적인 여러 문제는 여기서 언급하지 않겠다. 그것은 고사하고, 32대 대학원총학생회는 정기 감사 일정을 고지하며 시간과 장소조차 기록하지 않았다. 감사를 통해 학생회 자치가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대대적으로 드러내고 원우들 앞에 겸손한 자세로 그 결과를 보고하는 것은, 거듭 강조하는 것이 우스울 만큼 당연한 일이다. 필자는 이번 정기 감사 결과보고서가 언제쯤 총학생회 홈페이지 자료실에 등록될 것인지 기다리고 있다. 지금 누군가, 정기 감사로 해소되지 않은 것을 임시감사를 통해 질문하려고 준비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 필자의 의견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