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휘진 편집위원

 지난 23일 이후 연평도는 현재 전쟁상태다. 이번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약 스무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청와대는 물론, 야당과 보수언론은 모두 입을 모아 우리 군이 더욱 강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것에 분개하면서, 향후 교전규칙을 수정하고 연평도에 최첨단 군사시설물을 배치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언론은 이번 사건을 북한의 ‘도발’로 칭하면서, 왜 이번 사건이 일어나게 됐는지를 여러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북한이 정권교체를 앞두고 ‘포병전문가’인 김정은의 대중적 입지를 다지기 위한 전략이었다는 분석이 있는가하면, 지리상으로 서울보다 평양에 더 가까운 서해 5도를 포함하고 있는 현 NLL에 대한 북한의 계속적인 문제제기의 연장선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한편으로는 대화보다는 경제, 무력제재를 추구해 온 현 MB정부의 과격한 대북정책이 가져온 당연한 귀결이라고 설명하는 입장부터, 지난 두 정부의 햇볕정책이 가져온 결과라는 주장까지 그야말로 온갖 이야기가 떠돌고 있다.
 그런데  포가 머리 위를 지나 사방에 떨어지는 순간을 온 몸으로 감당해야 했던 연평도 주민은 현재 어떤 처지에 놓여있는가. 인천의 한 찜질방에 ‘피난처’를 마련한 그들은 지금 공황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기본이요 대소변을 보는 것까지 불편해질 정도로 극도의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는 주민부터 다시는 그곳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말하는 주민까지, 연평도 주민에게 그날은 지울 수 없는 상흔으로 새겨졌다.
 이번 연평도 사건을 북한의 도발이라 칭하고, 지금까지 있었던 모든 북한 대응정책의 잘잘못을 따져 묻는 것으로부터 원인을 찾는 것은 연평도 주민뿐 아니라 이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 모두가 알고 있는 이 사건의 본질을 호도하는 것이다. 두 개로 갈라진 이 땅에 살고 있는 이들 모두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예외상태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종전이 아닌 휴전협정으로 막을 내린 전쟁의 여파 아래 지난 60년은 사실 언제나 전쟁의 위협 속에 놓여있었다. 그 덕택에 우리는 국방비로 세금이 새나가는 동안 낮은 사회복지수준을 감당해야 했고, 정치권의 세력다툼을 국민의 안보로 치환시키는 논리에 이용당해왔으며, 우리의 의사결정과 무관하게 흘러가는 두 정부의 자존심 싸움에 목숨을 내놓고 살고 있는 것이다.
군인과 민간인의 구별이 당연한 시대, 더 높은 차원의 파괴기계를 갖는 것이 안보의 목표인 시대에 살아야 하는 이 비극적인 전쟁의 세기는 종결될 수 없는 것인가. 파괴와 승리만이 목적인 모든 전쟁을 반대한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