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려 1천28쪽에 달하는 <The left, 1848~2000: 미완의 기획, 유럽 좌파의 역사>(2002)는 영국의 역사가 제프 일리가 20여 년에 걸쳐 집필한 역작이다. 20여 년에 걸쳐 유럽 좌파의 150여 년을 정리한 이 책을 10여 개월에 걸쳐 전문 번역가 유강은씨가 깔끔히 번역해냈고, 이런 노고가 빛을 발했는지 5만 원의 고가인데도 불구하고 벌써 3쇄(총 발행부수 3천500 부)까지 찍었다고 한다.
현재 미국의 미시건대학 칼 포트 석좌교수로 재직 중인 일리는 원래 독일사 전문가이다. 일리가 먼저 유명세를 타게 된 것도 독일사 부문으로서, 동료인 데이비드 블랙번과 공저한 <독일 역사기록의 신화>(1984)는 독일이 여타 유럽 국가들과는 다르게 발전해왔다고 주장하는 독일 역사계의 이른바 ‘특수한 길’(Sonderweg) 테제를 정면으로 비판한 ‘숨겨진 걸작’ 이다. 이 책은 같은 해에 <독일사의 특수성(The Peculiarities of German History)>이라는 제목으로 영역됐고, 국내에도 작년에 <독일 역사학의 신화 깨트리기> 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다. 물론 이 책은 적어도 지금까지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했고, 그래서 유독 ‘한국에서만’ 숨겨진 걸작이 되어 버렸다.
일리의 정치적 성향을 굳이 추적하자면 정통 맑스주의자는 아니지만 넓은 의미에서 좌파이고, 좀 더 한정해서 말하자면 그람시주의자에 가깝다. 일리의 이런 성향은 이처럼 자칫 헛발을 내딛기 쉬운 거대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동력의 하나가 된 듯하다. 일례로 일리는 좌파 역사가들이 좌파가 밟아온 지난날의 영광과 오욕을 다루면서 종종 누락하고 있는 여성운동과 환경운동 등을 정당하게 복권하고 있는데, 이 점은 일리의 이 책에 버금갈 만한 유일한 책인 도널드 사순의 <사회주의 1백 년: 20세기의 서유럽 좌파>(1988)가 상대적으로 여성운동과 환경운동에 지면을 아끼고 있는 점과 비교해 볼 때 더욱 더 빛을 발한다.


이런 점에서 일리가 자신의 책에 원래 “민주주의 벼리기”(Forging Democracy)라는 제목을 단 건 그럴 만한 이유가 있는 셈이다. 일리가 좌파의 역사를 기록하게 된 이유가 바로 “모름지기 좌파의 역사는 인간의 잠재력을 제한하고 왜곡하며, 공격하고 억압하고, 때로는 심지어 완전히 없애버리려고 하는 불평등의 체제에 맞서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싸움”이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좌파가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싸움에 별반 기여하지 않았다면 일리는 좌파의 역사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일리가 유럽 좌파의 역사를 뒤바꿔놓은 분기점 중의 하나로 꼽는 1968년의 유산을, 그리고 그 유산에 기대어 등장한 정체성의 정치학(특히 동성애 운동과 성애의 정치학 등), 혹은 말 그대로 새로운 정치학(반문화 운동과 빈집점거 운동 등)을 비교적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즉, 일리가 보기에 이 새로운 운동‘들’은 “민주적 실천의 새로운 영토들을 지도상에 기입”함으로써 “민주주의가 가질 수 있는 의미 역시 변화”시켰기 때문에 중요한 것이다.(이런 점에서 이 책은 J. 호머먼의 재기발랄한 책 <붉은 아틀란티스: 공산주의가 부재한 공산주의 문화>와 겹쳐 읽을 만하다. 공산주의를 ‘20세기 최대의 미학적 프로젝트’로 해석하는 이 책은 공산주의가 열어놨지만 우리가 간과해 왔던 ‘새로운 영토들’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 책에서 굳이 아쉬운 점을 찾으면 없는 것도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일리가 스페인, 더 나아가 세계 곳곳의 아나키즘에 별반 주목하지 않은 게 못마땅하다. 일리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가장 중요한 성과는 오직 혁명을 통해서만, 또는 적어도 내가 유럽 근대사회의 위대한 헌법제정 국면들이라고 부르는 몇몇 집중적인 변화의 시기를 통해서만 획득될 수 있었다”고. 그렇다. 일리의 이 말을 되받아 말하면 나는 아나키스트들이야말로 이런 혁명, 이런 국면들을 앞장서 열어젖힌 인물들 중의 하나라고 말하련다. 어떤 점에서 사회주의자들(공산주의자들)은 아나키스트들이 맺어놓은 열매를 받아먹거나 망쳐오지 않았을까? 1848년, 1871년, 1917년, 1968년이 모두 그랬다.
올해는 “잃어버린 10년”에 분통을 터트리던 보수 우파들이 승리의 샴페인을 터트린 해이다. “잃어버린 10년” 운운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해방 이후 50여 년을 도둑맞았다”라고 비웃는 것은 어쩌면 너무나 손쉬운 일일지도 모른다. 일리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가 20세기의 좌파가 추구했던 미래의 일부를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여기에 덧붙이자면, 우리는 미래의 나머지를 살아가야 할 것이다. 이 ‘나머지 미래’에 뭔가를 변화시키려면, 우리는 20세기 좌파의 유산 속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의 민주주의의 확장을 다시 상상하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이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것이 이 책이 갖고 있을지 모를 단점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일독을 강력히 권하고 싶은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대학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